혁신전략에도 지역의료 위기…의사 증원 없이는 '올스톱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국립대병원을 거점으로 지역과 필수의료를 살리기 위한 혁신전략을 내놨는데요.<br /><br />방향성은 맞다지만 당장 실현할 수 없다는 현실에 직면하게 됩니다.<br /><br />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해서는 결국 의사 증원이 없이는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30년까지 수도권에 생기는 상급종합병원의 분원은 9개로 병상수만 합치면 6천개가 넘습니다.<br /><br />필요한 전문의만 최소 1,500명 이상인데, 대학병원들이 분원을 채울 의료진 확보에 나선다면 지역 의료에 영향은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전문의는 물론 전공의, 간호사들까지 연쇄 이탈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, 지방 의료원의 의료진 이탈 사태가 지방 중소병원으로 확대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중소병원의 입장에서는 그걸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. 점점 더 경영상으로도 어려워질 겁니다"<br /><br />정부가 국립대병원을 지역의료의 거점으로 삼아 '빅5급'으로 키우겠다는 건 이런 현상을 막아보겠다는 취지입니다.<br /><br />전국 17개 국립대병원에 인력과 재정을 투입해 의료 공급과 수요를 총괄하게 하고, 1·2·3차 의료기관 간 협업을 이끌어 지역 의료를 탄탄하게 하는 것이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이런 상황을 잘 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당장 이것이 내년부터 개선돼서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, 저희는 그렇게 기대는 하지는 않고 있습니다. 이것은 구조적인 개혁이고 그렇게 해 나가기 위해서 노력을 해 나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전공의의 수도권 대 지방의 수련비율을 6대 4에서 5대 5로 변경하고, 지역인재전형도 시행하고 했지만,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결국 의대 증원 외에는 답을 찾기 어렵습니다.<br /><br /> "필요조건인 의대 증원이 전제가 되면 5년, 10년 후에 차츰 이 문제들이 풀려나간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일각에서는 지역의사제나 공공의대 신설이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의사단체가 반대하고 있고, 정부도 아직은 검토하고 있지 않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 (baesj@yna.co.kr)<br /><br />#필수의료혁신전략 #지역의료붕괴위기 #의대증원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