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 국채금리 급등 여파…한은 기준금리 인상 압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국채금리가 한때 심리적 저항선인 5%대를 넘어선 가운데, 당분간 고금리가 지속될 거란 전망까지 나오면서 증시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외화 유출에 원화 하락이 이어지면 경제에도 악영향인데, 금리를 책임진 한국은행의 고민이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세계 경제 금리의 지표가 되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16년 만에 장중 5% 선을 뚫고 치솟았습니다.<br /><br />국채 상승에 따른 불안감이 커지며,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지수와 S&P500 지수, 나스닥 지수는 동반 하락한 채 장을 마쳤습니다.<br /><br />미국 내 인플레이션과 중동 전쟁으로 인한 국제유가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여기에 "물가가 여전히 너무 높다"며 추가 긴축 가능성 시사하는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발언도 영향을 미쳤습니다.<br /><br /> "저와 제 동료들은 인플레이션을 2%대로 회복하겠다는 의지를 굳게 지키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코스피가 7개월 만에 종가 기준 2,400선이 무너지는 등 국내 증시도 크게 출렁였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9일 기준금리를 3.5%로 6번 연속 동결한 한국은행의 수심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미 금리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지면서 원화 가치가 떨어져 자금 유출이 우려되는 데다, 가계 대출이 6개월째 증가하고 있어 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겁니다.<br /><br />가계 빚을 늘리지 말라는 한은 총재의 작심 발언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 "다시 예전처럼 1%대로 기준금리가 떨어져서 비용부담이 적을 거다 그런 생각을 하신다면 그 점에 대해서는 제가 경고를 드리겠습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경기 회복 흐름이 예상했던 것보다 더딘 데다 부동산 PF 부실, 가계 부채 이자 부담 등 언제 터질지 모르는 '빚 폭탄' 때문에 선뜻 금리를 올리기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한은이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딜레마에 빠진 가운데, 고금리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정부가 예견했던 '상저하고' 경기 회복 흐름도 멀어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한국은행 #기준금리 #FED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