갈길 먼 '반려동물 보험'…정부, 인프라 지원 강화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이 갈수록 늘고 있지만,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은 매우 저조합니다.<br /><br />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반려동물 보험 활성화가 쉽지 않은 탓인데요.<br /><br />정부가 관련 제도 개선 방안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약 5년 전 키우던 반려견 초코에게 보험을 들어줬던 김하정 씨.<br /><br />하지만 까다로운 조건 때문에 반려견과 이별할 때까지 단 한 번도 보험금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.<br /><br /> "실질적으로 애가 사고로 눈을 다치거나 했을 때 병으로 발전된 게 아닌 경우에는 또 혜택이 안 되고 이런 조건들 때문에…"<br /><br />2년 전 만난 새 반려견 땅콩이는 병원비로만 매달 30~40만 원이 나가지만, 보험에 가입할 수조차 없었습니다.<br /><br /> "땅콩이는 보호소에서 데려왔는데 이미 심장병이나 가진 지병이 많다 보니까…"<br /><br />반려동물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 반려인들이 많지만, 반려동물 보험 가입률은 지난해 기준 1%도 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관련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인데, 이에 정부가 개선 방안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진료서류 발급 의무화, 보험업계와 수의업계의 협력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, 보험 청구 시스템을 개선하고 맞춤형 상품 개발을 촉진할 방침인데, 반려동물 전문 보험사 진입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반려동물 보험이 '블루오션'으로 떠오르면서 일부 보험사들이 전문 회사 투자 등을 검토하기 시작했지만, 아직 쌓인 자료가 거의 없어 '지켜봐야 한다'는 의견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또, 반려인들은 이번 대책에서 병력이나 나이 제한, 보장 범위 등 가장 중요한 사안들이 빠졌다고 비판하고, 수의업계는 수의업계대로 약물 오남용 등 부작용을 우려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 "진료내역을 공개하면 임의로 특정 질병이나 증상이 있을 때 보호자분께서 임의로 처치하는 게 늘어나지 않을까…"<br /><br />반려동물 보험 활성화를 위해선 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를 조율하는 일이 시급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펫보험 #금융위원회 #반려동물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