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말부터 이어진 경기 침체에도 고용 지표만 보면 나쁘지 않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민간 일자리만 따져보니 제조업과 도·소매업 경기 부진으로 양질의 일자리가 줄었고, 청년 취업자 수도 감소세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정부는 경기 부진에도 고용 지표가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평가합니다. <br /> <br />통계청이 발표한 지난달 고용 동향을 보면, 경제활동 인구인 15세부터 64세의 고용률은 69.6%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0.7%포인트 상승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기간 실업률은 0.1%포인트 하락한 2.3%입니다. <br /> <br />[김병환 / 기획재정부 1차관(지난 13일) : 고용률 63.2%, 실업률 2.3%로 각각 9월 기준 역대 최고, 역대 최저를 기록하며, 고용지표가 견조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실제로 고용은 호황기를 맞고 있을까. <br /> <br />올해 상반기 민간 분야에 양질의 일자리는 오히려 감소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주 40시간, 이른바 '풀타임'으로 일하는 노동자 가운데 공공이나 농림·어업 등을 뺀 민간 분야 취업자 수는 1,905만여 명으로 지난해보다 9만여 명 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4월 이후 3개월째 감소세입니다. <br /> <br />업종별로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장기간 업황이 부진했던 제조업 취업자 수가 13만 명 줄었고, 도매와 소매업은 8만 9천 명, 건설업도 5만 3천 명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[오계택 /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: (정부 통계에는) 공공일자리부터 여러 가지가 다 들어가니까 그냥 정부에서 예산으로 어쨌든 늘리면 다 되는 부분이고. 민간 경기와 우리나라 전체 일자리가 완전히 일치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는 경우들이 있어요.] <br /> <br />기업마다 신규 채용문이 좁아지면서 청년층 고용 현황도 좋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청년층 취업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8만 9천 명 줄었고, 고용률은 0.1%포인트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윤주 / 통계청 사회통계국장(지난 13일) : (청년) 취업자 수는 줄었지만 일단 기본적으로 인구 구조의 변화와 같이 봐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'율'이라는 부분, 이제 취업자만 볼 게 아니라 고용률도 같이 봐야 하는 상황이고요.] <br /> <br />대내외적인 경기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 제조업 등 민간 분야에서 고용 여건이 당분간 나아지기 어려울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임종문 <br /> <br />그래픽: 기내경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22171528631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