달달한 맛에 인기가 좋은 골드키위는 주로 외국산 품종으로 재배되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, 뉴질랜드 제스프리를 뛰어넘는 우수한 국산 키위를 보급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국내산 골드키위 하트골드가 처음으로 제주에서 수확되며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제주방송 김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키위가 가지마다 주렁주렁 탐스럽게 달렸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처음으로 출하되는 하트 모양의 골드키위, 감황입니다. <br /> <br />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골드키위로 제주에서는 지난 2021년부터 재배를 시작해 올해 첫 수확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제주산 감황, 하트골드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출하되면서 소비자들도 품질 좋은 국내산 키위를 맛볼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트골드의 후숙 후 평균 당도는 18브릭스. <br /> <br />다른 키위보다 크고 당도가 높으며 과육이 골드키위 중에서도 가장 노랗다는 특징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신태범 / 성산일출봉농협 키위공선회장 : 아주 긍정적으로 생각합니다. 일 년 차 첫 수확이지만 과실도 많이 크고 당도도 아주 높고 다른 외국산이나 다른 골드 키위에 비해서 여러 특화된 장점이 많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제주동부 농업기술센터는 2021년부터 성산지역에 월동 무를 대체할 정예소득작목단지를 조성해 하트골드 보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직 성산지역에는 5 농가, 도내 전체적으로는 25 농가에 불과하지만, 점차 재배면적을 늘려간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오승진 / 제주동부 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팀장 :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만들어서 2020년부터 보급하고 있는 품종인데, 2029년까지 저희가 50ha 정도 하트골드라고 지역 브랜드도 만들어서 출하하려고 하고 있고….] <br /> <br />국내산 골드키위가 보급되면 외국 품종 로열티 부담이 줄어 농가 수익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제주산 하트골드는 올해 일부 농가의 첫 수확을 시작으로 점차 생산량이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농업기술원은 외국산 품종보다 더 좋은 품질을 선보일 수 있도록 브랜드 가치와 품질 고급화에 주력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하트골드 재배면적이 확대되고 소비시장에 안착할 때까지 재배기술 교육과 현장 컨설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KCTV 김수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수연 kctv (sbi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02220143287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