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면서, 전기차 배터리 폭발 화재도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른바 '열 폭주' 현상으로 피해도 크고 화재 진압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소방 당국은 배터리 폭발 화재 진압 훈련을 정기적으로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종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전기차 배터리가 폭발하면 이른바 '열 폭주' 현상으로 그야말로 순식간에 불이 번집니다. <br /> <br />주변 차량 네댓대는 무방비 상태로 피해를 입을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전기차 배터리 폭발 화재를 가정한 소방 훈련이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차량 밑에서 연기가 나고,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관들이 물을 뿌립니다. <br /> <br />소화포를 씌워 열 확산도 막고, 차량 밑으로는 방수 관창을 넣어 배터리의 열을 식힙니다. <br /> <br />마지막으로 이동식 소화 수조를 설치해 배터리의 열이 식기를 기다립니다. <br /> <br />이런 아파트 지하 주차장은 전기차 화재 진압이 더 까다롭습니다. <br /> <br />밀폐된 공간에 차량이 밀집되어 있고, 소방차가 진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유재헌 / 창원의창소방서 대응조사1팀장 : 소방차 진입이 불가능하고 밀폐된 구조로 다량의 연기가 발생해서 시야 확보가 어렵고, 화점 발견이 어렵고….] <br /> <br />전기차 배터리가 폭발하면, 800℃까지 치솟은 열이 쉽게 가라앉지 않아 진화에도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배터리에 구멍을 내서 배터리 내부에 물을 뿜어 열을 식히는 특수 장비도 도입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표현일 / 창원소방본부 대응예방과 훈련담당 : 차량 하부에서 전기차 배터리를 직접 관통해서 짧은 시간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신규 특수 장비 4대를 도입할 예정이며,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.] <br /> <br />특히, 주차장에 낮은 격벽을 세우는 등 열 폭주에 따른 불 확산을 막는 정책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종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종혁 (john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02304263395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