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H 철근 누락 사태 이후 정부가 두 달 동안 이어온 민간 무량판 아파트 철근 누락 전수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400여 곳을 대상으로 조사를 벌인 결과 아직 착공 전인 아파트 단지 한 곳에서 철근 누락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윤해리 기자! <br /> <br />LH 철근 누락 사태 이후 민간 아파트 전수 조사 결과가 큰 관심이었는데, 철근 누락이 발견된 곳은 많지 않았네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LH가 발주한 공공주택에서 철근 누락이 대거 발견되자 정부는 주거 안전을 위해 무량판 구조로 설계된 민간 아파트까지 두 달 동안 전수 조사를 벌였는데요. <br /> <br />조사 대상은 지난 2017년 이후 설계된 민간 무량판 아파트 378곳을 포함해 모두 427곳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시공 중인 단지 139곳, 이미 준공이 완료된 단지 288곳으로, 주거 동까지 조사 대상에 포함하되 벽식 구조에 가까운 혼합 구조는 제외했습니다. <br /> <br />조사 결과, 아직 착공 전인 현장 한 곳에서 설계도면 상에 철근 누락이 발견돼 즉시 선제 보완 조치했다고 국토부는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단지명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준공된 아파트 가운데 보강 철근이 빠진 곳은 없었고 콘크리트 강도도 기준치를 충족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준공된 아파트 단지 가운데 두 곳은 세대 내 조사가 필요했지만, 입주민들의 반대로 조사가 이뤄지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아파트의 경우 최상층 일부 세대 천장에만 보강 철근이 필요한 구조로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게 국토부 측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국토부는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등 현재 시공 중인 비아파트 무량판 건축물 공사 현장 57곳 가운데 47개 조사 결과도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 한 곳에서 기둥 1개에 들어가야 할 보강 철근 6개 가운데 2개가 빠진 게 발견돼, 보완 조치가 완료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현장 점검은 지자체와 국토안전관리원이 입회한 가운데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또 준공 단지 288개 가운데 40%에 해당하는 121개 단지에서는 입주자 대표가 입회해 면밀하게 현장 검증이 이뤄졌다고 국토부는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원희룡 장관은 국민이 공동주택에 안전하게 살 수 있도록 이른 시일 내 건설 현장 안전 강화 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LH 철근 누락 사태 이후 민간 아파트에서도 부실시공이 대거 확인될 경우 논란이 커질 거로 예상됐지만, 큰 하자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LH의 관리·감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023133048587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