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스라엘 기습 공격 당시, 인질들을 납치해 갔던 무장단체 하마스가, 인질 2명을 추가 석방했습니다.<br> <br>가자지구에 연료를 넣어주면, 인질을 최대 50명까지 석방하겠단 제안도 한 걸로 알려졌는데요.<br><br>본격적인 지상전을 앞두고 양측의 기싸움도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.<br><br>김태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수척한 모습의 두 여성이 팔레스타인 무장단체 하마스 대원들에게 부축을 받습니다. <br><br> 가자지구와 이집트를 연결하는 라파 통로에서 인도되는 이스라엘 인질들입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(이름은) 요체브 리프쉬츠. 몇 살이냐고? 85세야." <br> <br> 하마스 대원에게 작별인사도 건넵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잘 가세요!" <br> <br>하마스는 나이와 건강을 고려해 인도적 차원에서 일흔 아홉, 여든 다섯의 할머니 2명을 풀어줬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 지난 20일 미국인 인질 2명을 풀어준 이후 두번째 석방입니다. <br><br>[다니엘 리프쉬츠/ 요체브 리프쉬츠 손자] <br>"우리는 할머니가 아무 탈 없이 지내길 바랐습니다. 이번 일이 다른 인질에게도 석방의 시작이 되기를 바랍니다." <br> <br> 이스라엘군은 하마스에 억류된 인질이 220여 명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외신들은 하마스 측이 라파 검문소를 통해 연료를 보충 받으면 인질을 최대 50명까지 풀어줄 뜻을 내비쳤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 카타르와 이집트가 인질 석방을 중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이스라엘과 미국의 입장은 단호합니다. <br><br>[조 바이든 / 미국 대통령] <br>"인질이 먼저 풀려나야 합니다. 그 후에 협상을 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 대규모 지상전을 앞두고 하마스 측은 공격용 무인기 영상을, 이스라엘은 지상전 대비 훈련 영상을 각각 공개하며 기세 싸움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 미국은 이스라엘에 지상작전 조언 등을 위해 군 장교도 파견했습니다. <br><br>채널A 뉴스 김태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태림 기자 goblyn_mi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