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경기도 버스 노사 양측이 막바지 임금 협상을 벌이고 있습니다.<br><br>만약 결렬되면, 내일 첫차부터 버스 운행이 전면 중단됩니다.<br><br>당장 아침 출근길 대란이 우려됩니다.<br><br>현장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. <br> <br>신선미 기자, 협상이 타결될 기미가 보입니까?<br><br>[기자]<br>네. 경기도 버스 노사의 최종 협상은 오후 4시부터 시작됐습니다.<br><br>노조 측은 오늘 밤 12시를 협상 최종 시한으로 정했는데요.<br><br>이때까지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내일 첫차부터 운행 중단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><br>경기도 내 52개 버스 업체 노조가 소속된 버스노동조합협의회는 김동연 경기기사 임기 내 전면 준공영제 도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기도 버스 기사 임금이 서울 등에 비해 월 50만원 이상 낮다보니 인력 유출이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남아 있는 기사들이 장시간 노동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며 처우 개선이 필요하다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이기천 / 경기도 버스노동조합협의회 의장] <br>"전혀 도출된 건 하나도 없습니다. 합의점도 하나도 찾지 못했고요." <br> <br>반면 버스업체들은 도의 운영비 지원 없이는 임금체계 개선이 어렵다고 맞서고 있습니다. <br><br>[김기성 / 경기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] <br>"어느정도 도출안을 만들었는데 세부사항까지는 접근을 못했다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하지만 경기도는 예산 문제 탓에 김 지사 임기 내인 2026년까지는 준공영제 전면 도입이 어렵다며 난색입니다. <br><br>협상이 결렬돼 파업에 들어가게 되면 경기도 전체 버스 중 89%인 9천 516대가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서울 등을 오가는 광역버스 2천 4백여 대도 포함돼 출근길 대란도 우려됩니다. <br><br>경기도는 파업에 대비해 24시간 비상 근무체계를 가동하기로 했습니다. <br><br>전세 버스와 관용 버스 425대도 대체 투입을 위해 대기 중입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박재덕 <br>영상편집 : 이은원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fres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