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스라엘의 봉쇄 속에 가자지구 주민들은 물자 부족으로 큰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일한 통로인 남쪽 라파 검문소를 통해 일부 구호품이 공급됐지만, 수요를 맞추기에는 태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김태현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자지구 제2의 도시인 칸 유니스. <br /> <br />빵을 사려는 주민들이 앞다퉈 몰려왔지만 먹을 것을 손에 쥐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의 기습 공격 이후 이스라엘이 전면 봉쇄한 가자지구는 모든 물자가 부족한 나날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마르완 질라니 / 팔레스타인 적신월사 사무총장 : 총체적이고 엄청난 파괴와 민간인 희생을 목격했습니다. 인프라도 파괴됐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1일부터 남쪽 라파 검문소를 통해 구호물자가 반입됐지만 연료는 포함되지 않았고, 주민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. <br /> <br />사흘간 들어간 구호트럭은 50여 대. <br /> <br />230만 명의 가자 주민이 쓰려면 하루에 최소 100대분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네발 파사크 / 팔레스타인 적신월사 대변인 :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필요한 물품이 늘어나 지금은 평소보다 두 배가 필요합니다. 안타깝게도 우리가 확보한 물품은 불과 3%로 줄었습니다.] <br /> <br />생활물자는 물론이고 연료도 거의 바닥났습니다. <br /> <br />연료 없이는 구호 트럭도, 병원 장비도 가동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스라엘은 전쟁 물자로 전용될 수 있는 연료 반입을 극도로 꺼립니다. <br /> <br />하마스는 연료 반입을 대가로 인질을 추가 석방할 가능성도 내비쳤지만 뾰족한 타협점은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가자지구 주민들의 고통이 심해지는 가운데 유엔이 제기한 인도주의적 지원을 위한 휴전 요구도 결실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편집 : 임현철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1026022550953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