희생자 159명이 발생한 '이태원 참사'가 사흘 뒤면 꼭 1년을 맞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1주기를 앞두고 참사가 일어난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서 희생자들을 기억하고 애도하기 위한 추모 공간이 공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윤웅성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예, 서울 이태원역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많은 시민들이 추모 공간을 찾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오늘이 처음 공개되는 건데도, 추모 공간을 둘러보는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공개된 설치물들을 보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골목이 시작되는 입구 바닥엔 '우리에겐 아직 기억해야 할 이름들이 남아 있습니다'라는 문구를 적어뒀습니다. <br /> <br />나머지 추모 설치물은 제 뒤편 벽 쪽 게시판과 표지판으로 구성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좁은 골목에서 참사가 일어난 만큼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치물을 이렇게 최대한 길가에 가깝게 조성했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가장 앞쪽엔 추모 공간의 이름인 '10·29 기억과 안전의 길'을 적은 표지판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참사가 일어난 10월 29일을 기억하고, 안전한 사회를 만들자는 의미가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바로 옆에는 게시판 3개가 잇따라 부착됐는데요,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에 대한 설명과 함께, 시민들이 직접 작성한 추모 메시지와 사진이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양한 언어로 적힌 문구도 눈에 띕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로 여러 국적의 희생자가 발생한 만큼, 이들이 사용했던 14개 언어로 '그날의 밤을 기억하는 모두의 오늘이 안녕하기를 바란다'는 문장을 번역했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 설치물은 살펴본 유족과 시민의 이야기 직접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민 / 이태원 유가족협의회 위원장 : 이제는 기억과 애도에 더해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합니다. 모두가 안전하게 일상을 보낼 수 있는 사회가 되는 것이 저희 유가족이 가장 바라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[강두연 / 시민 : 참사를 기억할 수 있을 것 같고요. 이런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각심 가질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은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오늘 공개된 추모 설치물은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대책회의, 이태원 관광특구연합회가 힘을 모아 조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가족과 참사 생존자뿐만 아니라, 상인 등 시민들도 함께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앞으로도 게시판 내용은 시민들과 소통을 거쳐 두 달마다 교체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유족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웅성 (yws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2616361722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