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대선 당시 윤석열 대통령을 겨냥한 '허위 보도 의혹'과 관련해 검찰이 언론사 5곳으로, 강제수사 대상을 넓혔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은 고의성이 의심되는 허위 보도만 추려 제한적으로 수사하고 있다고 밝혔지만, 언론의 합리적인 의혹 제기까지 위축되는 게 아니냔 비판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홍민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검찰의 이른바 '허위 인터뷰 의혹' 수사 선상에 일간지 경향신문과 인터넷 매체 '뉴스버스'가 새롭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9월, 뉴스타파와 JTBC, 지난 11일 인터넷 매체 '리포액트'에 이어 수사 대상 언론사는 5곳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이 '허위 보도'로 지목한 기사들의 보도 시점도 대선 직전이었던 지난해 3월에서 대선을 6개월 앞둔 재작년 10월로 확대됐습니다. <br /> <br />경향신문과 '뉴스버스'는 이 시기, 대장동 초기 사업자 이강길 씨 인터뷰 등을 근거로 당시 대검 중수부가 대장동 브로커 조우형 씨 수사를 무마해줬단 의혹을 제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향신문은 이 씨와 통화를 인용해 검찰이 부산저축은행 사건을 수사하면서 대장동 대출 건을 들여다봤고, <br /> <br />이 씨가 조 씨에게 대출 알선 대가로 10억여 원을 건넨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날 '뉴스버스' 역시 이 씨와 만나 인터뷰했다며 비슷한 내용을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검찰은 기사들의 토대가 된 이 씨 인터뷰 내용이 왜곡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기자들이 이 씨 취재 자료를 왜곡해 허위 보도한 정황이 드러났고, 증거 확보를 위해 불가피한 압수수색을 했단 겁니다. <br /> <br />이 씨도 최근 검찰 조사에서 실제 통화 내용과 다르게 보도됐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치열한 대선 국면, 고강도 후보자 검증 차원에서 이뤄진 언론의 의혹 보도를 파고드는 검찰 수사에 반발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경향신문은 지면 입장문을 통해 언론 윤리를 위반할 만한 행위는 전혀 한 적이 없다며, <br /> <br />향후 언론사를 무리하게 수사한 것으로 결론 난다면 책임은 검찰이 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기자협회 등 언론 단체도 의혹을 제기할 때마다 압수수색 하면 취재 활동은 위축될 수밖에 없다며, <br /> <br />민주주의와 언론 자유가 나락으로 떨어질 거라고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검찰은 의도하지 않은 단순한 오보에 대해서까지 수사를 확대할 계획은 절대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, <br /> <br />김만배 씨나 야당 등 보도 과정... (중략)<br /><br />YTN 홍민기 (hongmg122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2721024895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