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 참사 이후 그간 놓치고 있었지만 미흡했던 안전 문제들이 잇따라 지적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이 참사 1년 만에 현장을 다시 찾았더니, 개선된 부분도 있었지만 부족한 부분도 여전히 많이 눈에 띄었습니다. <br /> <br />윤성훈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태원 참사 직후 YTN과 함께 현장 안전진단을 실시한 전문가는 참사를 키운 원인 중 하나로 미끄러운 보도블록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[김병식 / 강원대 방재전문대학원 교수 : 보도블록 자체도 굉장히 울퉁불퉁하죠. 외국이나 이런 데 보면 블록 자체가 이런 미끄러운 블록이 아니라 약간 돌처럼 돼 있어서 미끄러지지 않게 돼 있는데 여기는 물만 뿌려지면 미끄러질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참사 1년 만에, 참사 현장을 다시 찾았습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가 발생했던 골목입니다. <br /> <br />사람들이 미끄러져 넘어지지 않도록 보시는 것처럼 보도블록에 홈을 팠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객을 포함해 인파가 언제든 몰릴 가능성이 크다고 봐서 서울 용산구청이 손질한 건데, <br /> <br />똑같이 좁고 경사가 심한 다른 골목은 1년 전과 달라진 게 별로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가 발생했던 현장 인근의 다른 골목입니다. <br /> <br />이곳은 보시는 것처럼 참사 이후 지적됐던 보도 블록 형태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 골목만 재정비한 구청 조치를 놓고 전시행정이란 비판이 나오는 가운데 용산구는 다른 골목 정비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골목 곳곳의 불법 증축 건물이 통행을 가로막아 참사를 유발했다는 분석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표적으로 지적됐던 해밀톤호텔의 불법 증축물은 그사이 철거돼 자취를 감췄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참사 현장을 내려다보는 곳엔 불법 시설물이 그대로 있고, 음식점과 술집에서 세워둔 간판이 보행을 방해하는 모습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대해 구청은 안전에 위해를 줄 위반 사항에는 매년 이행강제금을 물리겠다며, 남아있는 위반 건축물에 대해서도 고발 조치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핼러윈 축제가 주최자 없이 열렸다는 이유로, 지자체가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던 것 역시 문제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주최 측이 없는 행사에서도 지자체가 안전계획을 세우게 하는 법안이 발의됐지만 국회 법사위에 계류 중이라, 행정안전부는 만들어둔 매뉴얼을 발표조차 못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가 되풀이되는 걸 막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우리 사회가 얼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성훈 (ysh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028050930410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