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도의 허파이자 람사르 습지로 선정된 '선흘 곶자왈'에서 희귀곤충 4종이 새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과 습지가 어우러진 특이한 생태계가 곤충 서식에 최적의 조건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귀를 울리는 새 소리와 울창한 숲을 헤치고 쏟아지는 눈 부신 햇살 <br /> <br />산림과 습지가 공존하는 신비한 모습은 마치 한 폭의 그림을 연상하게 합니다. <br /> <br />인간의 흔적 없이 자연만이 존재하는 듯한 이곳은 제주도 생태계의 보고 '선흘 곶자왈'입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의 허파이자 전 세계적으로 보호해야 할 중요 습지로 인정받은 '람사르 습지'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자연 그대로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이곳에서 최근 새로운 곤충 4종이 새로 발견됐습니다. <br /> <br />멸종위기 야생생물 2등급인 두점박이사슴벌레와 물장군, <br /> <br />희귀 곤충인 남방 남색 부전나비와 좁쌀 사마귀입니다. <br /> <br />커다란 집게 모양의 뿔을 가진 '두점박이사슴벌레'입니다. <br /> <br />제주도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, 실제 서식지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몸길이가 48에서 최대 65cm에 달하는 거대 곤충인 물장군, <br /> <br />크고 강한 포획 다리로 독사인 '쇠 살모사'를 사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물에 사는 곤충은 물론 뱀까지 잡아먹는 연못의 무법자입니다. <br /> <br />종가시나무 나뭇잎의 뒷면에 연녹색 애벌레가 보입니다. <br /> <br />개미에게는 단맛이 나는 분비물을 주고 대신 개미는 천적을 막아주는 공생관계입니다. <br /> <br />다 자라 고치를 벗으면 아름다운 남색 날개를 지닌 보기 드문 '남방 남색 부전나비'가 됩니다. <br /> <br />역시 희귀종인 전 세계에서 가장 작은 사마귀도 이곳에서 살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낙엽 밑에서 숨어 생활하면서 파리나 귀뚜라미를 두 다리로 잡아먹습니다. <br /> <br />[설아라 /난대아열대 산림연구소 연구사 :선흘 곶자왈은 다른 숲과 달리 산림과 습지가 어우러진 특이한 생태계가 형성돼 있습니다. 이 때문에 다른 곳에선 보기 힘든 멸종위기 종이나 희귀 곤충들도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새로운 생물 종이 계속 발견되는 선흘 곶자왈의 생태 환경이 기후변화나 인위적인 간섭으로 파괴되지 않도록 모니터링과 연구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102906102803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