당뇨 환자는 혈당 수치에 따라 건강 상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찰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피부에 붙여 2주 동안 혈당 수치를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버스 운전기사가 갑자기 정신을 잃습니다. <br /> <br />움직이는 상황이었다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아찔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당뇨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저혈당 쇼크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일이 언제든 생길 수 있는 당뇨 환자는 꾸준한 혈당 측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혈당 센서입니다. <br /> <br />무게 14mg, 길이가 1mm 이하인 미세 바늘에 금으로 된 본체가 붙어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연하고 얇은 기판 위에 피부 접착제와 전기 신호가 잘 전달되도록 젤 전해질을 코팅한 것입니다. <br /> <br />반도체에 사용되는 광 패턴 기술을 응용해 가벼우면서도 고성능의 센서 제작이 가능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[강주혁 /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연구원 : 수동으로 하지 않고 자동으로 원하는 부위에만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이를 마이크로 니들 센서에 적용해서 아예 하나의 제품으로….] <br /> <br />자외선을 이용한 이런 공정을 여러 차례 반복한 뒤에 완성된 초박막 혈당 센서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이 센서를 주의 피부에 부착한 뒤 4시간 연속 혈당을 측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20분 마다 쥐의 피를 뽑아 측정한 혈당 수치와 센서에서 연속으로 측정된 혈당 수치가 정확하게 일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원령 / KIST 생체재료연구센터 선임연구원 : 매번 침을 찔러야 하는 불편함과 혹시 모를 돌발사태에 대비해서 몸에 착용감 없이 연속적으로 당을 측정하는 플랫폼이 있으면 환자들의 삶의 질을….] <br /> <br />연구진은 초박막 혈당 센서와 비슷한 두께의 통신 장치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당뇨 환자가 매번 피를 뽑지 않아도 혈당 센서만 피부에 붙이면 2주 정도 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셈입니다. <br /> <br />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'Cell'의 자매지인 '디바이스(Device)'에 게재됐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 : 지경윤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3102906241127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