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'정찰위성 10월 발사' 불발…기술적 준비 부족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지난 8월 정찰위성 2차 발사에 실패한 날 "실패 원인을 규명하고 10월 중 3차 발사에 나설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10월이 다 지나가도록 아무 소식도 없는데요.<br /><br />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정찰위성 발사를 미루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은 지난 5월과 8월에 실패한 정찰위성 발사 당시 매번 이틀 전에 국제해사기구(IMO)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에 인공위성 발사 예정 시기를 통보했습니다.<br /><br />정찰위성 3차 발사와 관련해 북한이 일본에 인공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했다는 소식이 아직도 없는 것으로 미뤄 북한이 장담했던 "10월 중 발사"는 물 건너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'정찰위성 10월 발사' 불발 배경에 대해 정치·외교적 원인보다는 기술적인 이유 때문일 거라는 관측이 우세합니다.<br /><br />앞서 북한은 2차 발사 실패 원인에 대해 운반 로켓 소프트웨어 오류일 뿐 "큰 문제는 아니다"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 같은 초기 분석과 달리 3차 발사를 준비하는 과정에 예상보다 더 어려운 기술적 문제에 맞닥뜨렸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미 2차례 실패를 맛본 정찰위성 개발자들이 3차 발사에 대해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과도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 "세 번째 발사까지 실패하면 관련자 문책과 처벌이 불가피합니다. 정찰위성 개발 담당자들 입장에서는 시간을 못 지켜도 이번에는 무조건 성공해야 하는 만큼 최대한 신중히 준비할 수밖에 없다고 봅니다."<br /><br />일각에서는 2차례의 발사 실패로 위성체를 다 소진해 새로운 위성체를 제작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한편 지난달 열린 북러 정상회담 당시 푸틴 대통령이 북한의 인공위성 개발을 돕겠다고 시사한 만큼 북한의 정찰위성 3차 발사 준비에 러시아 우주과학자들이 참여했을지도 관심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북한이 자체로 개발한 운반 로켓이어서 러시아의 기술 지원이 크게 도움이 안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