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음 달 1일부터 한 달 반 동안은 '가을철 산불 조심' 기간입니다. <br /> <br />기후 변화로 가을 산불이 잦아지고 대형화하자 산림 당국이 원인별 맞춤형 대책을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단풍 물이 든 가을 산에 갑자기 불이 났습니다. <br /> <br />제일 먼저 고성능 산불 진화차가 투입돼 강한 수압으로 물을 뿜어냅니다. <br /> <br />임도가 없는 지역에 불이 나면 진화 헬기가 출동합니다. <br /> <br />중형 임차 헬기와 러시아산 헬기가 편대 비행을 하고, 초대형 헬기가 등장해 8톤의 물을 쏟아 붓습니다. <br /> <br />가을 산불을 대비하기 위해 유관 기관이 총출동한 산불 합동진화 훈련입니다. <br /> <br />[김만주 / 산림청 산불방지과장 : 매년 1회씩 대형산불 훈련을 하는데, 훈련을 통해 사전에 관계자들이 충분한 경험과 요령, 절차를 습득하기 위한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가을철 산불은 평균 35건, 연간 산불의 7%로 비중이 크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난해는 무려 66건, 23ha의 피해를 주며 2배가량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상황도 심상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19 유행이 끝나고 지역 축제와 등산객이 급증하며 산불 위험 요인이 커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가을철 산불의 원인을 보면 입산자 실화가 가장 많고 소각산불이 그 뒤를 잇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산림청은 산불 주요 원인별 맞춤형 대책으로 산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불 취약 지역의 입산 통제와 등산로 폐쇄에 나섭니다. <br /> <br />또 봄철에 시행하던 농가 영농부산물 파쇄를 가을로 앞당겨 지원하고 <br /> <br />산림 주변 화목 보일러 일제 점검도 진행됩니다. <br /> <br />인공지능과 첨단 CCTV를 연계해 산불 24시간 감시 체계를 구축하고 드론을 활용해 취약 시간대 소각활동을 단속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[남성현 / 산림청장 : 산불 위험성이 그 어느 때보다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. 산불 원인별로 맞춤형 예방대책을 강화하고 감시와 예측을 고도화해 산불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가을철 산불 조심 기간은 11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. <br /> <br />산림청은 이 기간 119, 112를 통해서도 산불 신고가 접수될 수 있도록 '긴급신고통합시스템'을 운영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래픽 : 기내경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3103017220544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