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자 북부서 작전 규모 확대하는 이스라엘…장기적 포위전 나선 듯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가자지구에 대한 본격적인 지상전에 돌입한 이스라엘이 작전규모를 점차 확대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전면적인 공격보다는 장기적인 포위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자세한 내용은 보도국 연결해 알아봅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말씀하신 것처럼 이스라엘이 본격적인 지상전에 돌입한 이후 작전 규모를 확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 총리의 '전쟁 2단계' 선언 이후 대규모 병력도 투입해 왔는데요.<br /><br />밤사이 가자지구 북부에서 무기저장고와 은신처 등 하마스 시설 600여 곳을 타격했고, 하마스 대원 수십 명을 제거했다고 이스라엘군은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군의 이런 전략적 행보를 두고 대규모 인명 피해가 불가피한 전면전 대신 장기전을 선택한 결과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스라엘군이 공격 후 가자지구 내부에 남아 주둔을 위한 거점을 확보한 것이 이러한 정황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외신 보도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현재 중부 지역에 임시 거점을 마련했는데요.<br /><br />가자지구 남쪽과 북쪽의 통행을 차단한 뒤에 남부에 있는 피란민에겐 물자를 공급해주고, 하마스가 있는 북쪽은 서서히 포위하면서 숨통을 조여들어가는 작전에 나선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다만 하마스가 가자지구 지하에 마련한 땅굴, 일명 '가자 메트로'를 고려할 때 이스라엘의 장기적인 포위전략이 성과를 낼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런 가운데, 이란 대통령이 이스라엘을 향해 '레드라인을 넘었다'고 발언하면서 전쟁이 확전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그렇습니다.<br /><br />지상전 개시 후 이란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 올린 경고 메시지가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그가 올린 '레드라인을 넘었다'는 메시지가 전쟁에 개입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되면서 신중동전쟁이 발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진 겁니다.<br /><br />이란은 중동에서 하마스를 포함한 반이스라엘, 반미 세력의 후원자이자 배후로 지목되는데요.<br /><br />이 세력이 가세하면 자칫 5차 중동전쟁으로 번질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같은 날 이란 외무장관은 "전쟁이 번지는 것을 원치 않는다"며 대통령 발언에 비해 수위를 조절하는 듯한 태도를 취했는데요.<br /><br />자신들이 지원하는 무장세력 배후에서 대리전을 지휘하면서, 상대와 주도권 경쟁을 벌여온 전형적인 이란의 전략이란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이스라엘이 국경을 마주한 시리아 내 혁명수비대와 레바논 헤즈볼라 세력에 대한 공세를 높이는 반면, 이란의 지원을 받는 무장세력 역시 이라크와 시리아 내 미군기지를 잇따라 공격하면서 확전 우려는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개입 정도와 이슬람권 지도국인 사우디아라비아와 튀르키예의 선택에 따라 확전의 향배가 좌우될 수 있다는 시각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