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스라엘군과 하마스의 전쟁에 북한이 끼어들 건가 봅니다. <br> <br>팔레스타인을 지원하라고 김정은 위원장이 지시한 정황이 우리 국정원에 포착됐는데요. <br> <br>팔레스타인에 무기를 팔아 이득을 챙기려는 속셈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조아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국가정보원은 북한이 이스라엘-하마스 전쟁 사태를 돈벌이 창구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회 정보위원회 국민의힘 간사] <br>"김정은이 최근 팔레스타인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찾으라고 지시한 정황을 포착하였으며…" <br> <br>과거에도 북한이 하마스와,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에 대전차무기와 방사포탄을 수출한 전례가 있는 만큼, 무기를 추가로 판매할 가능성도 있다는 겁니다. <br> <br>북한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러시아에는 이미 무기를 수출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[유상범 / 국회 정보위원회 국민의힘 간사] <br>"북한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전을 지원하기 위해 8월 초부터 러시아 선박, 수송기를 활용해 포탄 등 각종 무기를 10여차례 수송한 것으로…" <br> <br>국정원은 포탄을 실은 선박이 북한 나진항을 출발해 러시아의 보스토치니항을 거쳐 열차를 통해 우크라이나 인근 티오레츠크 탄약고에 도착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><br>이렇게 반출된 포탄만 이미 100만 발 이상으로, 우크라이나 전쟁 상황에서 두 달이상 사용가능한 양입니다. <br> <br>군수물자 수요를 맞추기 위해 군수공장은 이미 풀가동 중입니다. <br> <br>북한의 무기판매 시도는 최근 악화된 경제상황과 무관치 않습니다. <br> <br>재외 공관의 연쇄 철수 움직임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> <br>북한은 2013년 스페인 마드리드에 대사관을 개설한 지 10년 만에 철수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우간다, 앙골라 등 아프리카 대사관과 홍콩총영사관을 잇달아 폐쇄한 데 이어 유럽에서도 철수하기로 한 겁니다. <br> <br>앞서 통일부 당국자는 "북한이 대북 제재 강화로 외화벌이에 차질을 빚어 철수하는 것으로 보인다"고 분석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조아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기범 <br>영상편집 : 강민<br /><br /><br />조아라 기자 likei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