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유가 속 채솟값은 고공행진…10월 물가도 불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요즘 오르지 않은 게 없다고 할 만큼 생활 물가가 들썩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정부는 10월이면 물가 상승률이 다시 안정될 것으로 전망했는데, 지난달 소비자 물가가 실제로 얼마나 올랐는지, 내일(2일) 통계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작년 7월 정점을 찍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1년간 둔화했지만, 지난 8월 반등해 9월 3.7%까지 뛰었습니다.<br /><br /> "대체로 10월을 지나면서 물가는 다시 안정세를 보일 전망입니다. 다만 국제유가 상승 등 일부 불안 요인이…."<br /><br />변수는 8~9월에도 소비자 물가 상승을 이끌었던 국제 유가와 농산물 가격입니다.<br /><br />국제 유가는 최근 하락했지만, 중동 정세 불안으로 9월에 급등한 가격 효과가 시차를 두고 10월 물가에 고스란히 반영됐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채솟값은 정부의 물량 공세에도 최근 날씨가 급격히 추워지면서 가격 하락이 더디게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원료값 상승으로 우유에 이어 소주와 맥주, 햄버거, 화장품 가격도 줄줄이 올랐고, 서울 지하철 등 대중교통 요금도 인상됐습니다.<br /><br />'10월 안정론'이 어려워진게 아니냐는 전망 속에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한국은행도 메시지를 수정하는 분위기.<br /><br /> "8월에 예측했던 물가의 하락 경로보다는 속도가 좀 늦어지지 않겠냐는 것이 금융통화위원들의 중론입니다."<br /><br />연말까지 3.5%, 내년 말까지 2.4%로 내다봤던 기존의 물가 목표 수렴 시점을 한국은행이 이번 달 발표하는 수정 경제 전망에서 늦출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.<br /><br />강은나래 기자 (rae@yna.co.kr)<br /><br />#물가 #기획재정부 #한국은행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