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시장의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간만에 우리 시장도 상승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 인해 한국은행도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부 이슈들 짚어보며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엄윤주 기자 나왔습니다. 안녕하세요. <br /> <br />우선 간밤에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는 소식 전해드렸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우리 시장 오랜만에 반등했네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 시장 오래간만에 상승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(2일) 코스피는 어제(1일)보다 1.81% 오른 2,343.12로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코스닥은 무려 4.55%나 급등해 772.84로 장을 끝냈습니다. <br /> <br />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옅어지면서 원화값도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 외환시장에서 원-달러 환율은 14.4원 내린 1,342.9원으로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간밤 미국 FOMC에서 기준금리를 시장의 예측대로 동결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예상보다 덜 매파적이었던 제롬 파월 의장 발언 덕에 미국 증시도 상승 마감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달러와 미 국채 금리가 함께 하락하는 등 우리 시장에 우호적인 대외 호재성 소식에 힘입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] <br />우리 금융당국도 한시름 놓았겠네요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만약 이번 미국 FOMC가 기준금리를 인상했다면 지금 2%p인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또 한 번 벌어지게 됩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원화 가치는 계속 떨어지고 덩달아 외국인의 자금 유출도 거세질 수밖에 없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결국 미국의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 우리도 한결 부담은 덜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 의견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(굿모닝 와이티엔 출연) : 수입물가 관리에도 여력이 생겼고 환율 관리 측면에서 여력이 생겨서 다음에 한국의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결정할 때 조금은 여력이 생길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됐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올해 마지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회의가 오는 30일에 열리는데요. <br /> <br />7차례 연속 연 3.5% 기준금리 동결 가능성에 무게가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그렇긴 하지만 변수는 가계 대출과 물가라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앞서 금통위 의사록을 보면 현재 금통위원들의 딜레마가 고스란히 느껴집니다. <br /> <br />경기는 갈수록 가라앉고 부동산 PF 부실 우려는 커지는데도 금리를 쉽게 올릴 수도 없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고 불어나는 가계 부채를 고려하면 내리... (중략)<br /><br />YTN 엄윤주 (eomyj101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0217101407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