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후변화가 점점 더 빨라지면서 여름철 집중호우도 예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심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홍수 대비가 덜 된 중소규모 하천을 중심으로 물을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바닥을 깊게 만드는 준설 작업 등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 현장을 김평정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작은 산처럼 쌓인 흙무더기에서 굴착기가 열심히 흙을 퍼 올립니다. <br /> <br />파낸 흙은 줄지어 들어오는 25톤 덤프트럭에 계속해서 실려 나갑니다. <br /> <br />골재채취장 같은 이곳은 사실 강원도 원주에 있는 섬강입니다. <br /> <br />강물이 오랫동안 흐르면서 퇴적된 강변을 수면과 비슷하거나 낮게 깎아내고 있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작업이 마무리되면 홍수 피해를 자주 겪던 섬강 주변은 내년 여름 걱정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최근 홍수 피해는 한강과 낙동강, 금강, 영산강 같은 큰 강 말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천에 집중됐습니다. <br /> <br />제철소까지 침수시켰던 포항 냉천과 오송 지하차도 사고를 일으킨 미호강에선 당시 각각 500년과 200년에 한 번 올 것으로 예측됐던 규모의 홍수가 발생했습니다. <br /> <br />제방 정비를 마쳤을 경우 큰 강은 홍수에 100% 대비할 수 있지만, 지류 하천은 안전도가 77%에 그쳐 제방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정부는 내년 여름이 오기 전에 하천이 물을 더 많이 담을 수 있도록 미리 준설작업을 해놓을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한화진 / 환경부 장관 : 준설은 처음 계획, 착공부터 준공까지 좀 시일이 걸립니다. 올해에 완료되는 것이 3개소가 있고요. 그다음에 내년도에는 7개 지구에 대해서 저희가 한 130만 톤 준설을 할 계획에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내년까지 국가가 관리하는 7개 지류하천에서 준설을 추진하고, 재해 위험이 있는 지방하천 890여 곳도 정비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준설 과정에서 하천 주변의 나무와 풀이 제거되고 수중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 환경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각 하천의 특성을 꼼꼼히 살피고 전문가의 의견을 듣는 등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정비사업 추진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0407014283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