건설 공사 현장에서 사망한 근로자가 매 분기 꾸준히 늘어 올해 벌써 180명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에 드는 대형 건설사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가 5명 가운데 1명꼴로 오히려 늘고 있어 대책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2년째지만, 건설현장에선 여전히 사망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망자는 매 분기 꾸준히 늘어, 올해 3분기 180명을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보다도 13명 늘어난 겁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시공능력평가 100위 안에 드는 대형 건설사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40명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사망자 5명 가운데 1명꼴입니다. <br /> <br />건설사별로 따져보면, 시공능력평가 8위 롯데건설이 4건으로 가장 많았고, 6위인 디엘이앤씨와 13위인 한화건설이 각각 3건으로 뒤를 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디엘이앤씨의 경우 지난해 1월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가장 많은 사망 사고를 냈지만, 지금까지 재판에 넘겨진 관계자는 한 명도 없습니다. <br /> <br />[마창민 / 디엘이앤씨 대표이사 : 사고를 막는 책임을 가지고 있는 원청사로서 현장에 사고가 발생한 것에 대해서 굉장히 안타깝고 송구스러운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는 사망 사고가 빈번한 대형 건설사들을 상대로 칼을 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노동부는 지난 7월 디엘이앤씨가 맡은 전국 공사 현장 79곳 가운데 61곳에서 200여 건에 달하는 위반 사항을 적발해 과태료 3억 8천만 원을 부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시공능력평가 10위 안에 드는 현대건설과 대우건설, 롯데건설에 대해서도 일제 감독을 진행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[최명기 / 대한민국 산업현장교수단 교수 : 첫 번째로 (대기업의) 관리 감독자의 수가 부족하다. 또 경영자들이 너무 원가 위주의 경영을 하다 보니까 공기 단축이라든지 무리한 작업을 할 수밖에 없는 환경 조성을 하게 되는 거고요.] <br /> <br />정부의 감독 강화뿐 아니라, 대형 건설사들의 안전 관리자 확충과 투자 확대가 함께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YTN 윤해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영상편집: 전주영 <br /> <br />그래픽: 홍명화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05053219201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