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공매도가 전면 금지됩니다. <br> <br>당장 내일부터 내년 6월까지 약 8개월간 주식시장에서 사라집니다. <br> <br>역사상 4번째로 코로나 시기 이후 약 3년 만입니다. <br> <br>최근 글로벌 투자 은행의 불법 공매도가 적발되면서 제도 개선에 앞서 선제적으로 마련된 조치입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 소식, 유 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금융위원회는 당장 내일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약 8개월 동안 공매도를 금지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><br>공매도는 특정 종목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하면 해당 주식을 빌려와 먼저 팔고, 가격이 내리면 떨어진 가격에 주식을 사고 팔아 차익을 거두는 투자 방식입니다.<br> <br>특히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미리 팔아버리는 기관의 불법 공매도로 인해 개인 투자자들만 피해를 입는다고 판단한 겁니다. <br> <br>[김주현 / 금융위원장] <br>"불법 공매도가 공정한 가격 형성을 저해하고 시장의 신뢰를 저하시키는 엄중한 상황입니다." <br> <br>공매도는 주가가 빠져야 수익을 내는 구조인 탓에 글로벌 금융위기와 코로나19 등 경제 위기 상황에서 세 차례 금지됐습니다.<br> <br>공매도가 주가 하락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개인투자자 반감이 높았습니다. <br><br>특히 지난달 글로벌 투자은행 2곳의 560억 원 규모 불법 무차입 공매도 적발이 반발 여론에 기름을 부었습니다. <br> <br>공매도 한시 금지 결정에 1400만 명 개미 투자자들은 반가워 합니다. <br><br>[권정행 / 서울 도봉구] <br>"(공매도 금지는) 마땅히 했어야 하는 조치가 아닌가 싶습니다. 개인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공매도는 빨리 멈췄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." <br> <br>다만 공매도 금지보다 불법 공매도에 대한 강력한 처벌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. <br> <br>금융당국은 내년 6월 28일까지 공매도를 금지한 뒤 제도 개선 정도를 따져 재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 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기범 강철규 <br>영상편집: 이승근<br /><br /><br />유찬 기자 chancha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