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인천, 대구, 서울 빈대가 속출하고 있죠. <br> <br>급기야 정부가 빈대 현황판을 만들어 총력대응에 나서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김단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난주 빈대확산 방지를 위해 합동대책본부를 꾸린 정부가 전국적으로 빈대 발생 현황 파악에 나섭니다. <br> <br>대책본부는 전국 17개 광역 지자체를 통해 전국 기초 지자체에 접수된 빈대 의심신고 건수, 대처 상황 등을 보고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특히 시설, 단계별 등 구체적으로 파악하라는 지침을 전달했습니다.<br><br>내일부터 지자체별로 상황이 취합되면 빈대 확산방지를 위한 현황판을 만들어 활용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정부차원의 본격적인 빈대 현황 파악이 시작되면 신고 건수는 크게 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다만 부정적 인식을 우려해 출현 지역과 시설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><br>또 내일 오후 지자체 담당자들을 만나 빈대 대책을 논의합니다. <br><br>[서울시 관계자] <br>"내일 회의를 하고 나면 뭔가 나오지 않을까요? 내일 세시에 회의하자 이 얘기밖에 없어요." <br> <br>2014년부터 10년간 질병관리청에 접수된 빈대 관련 신고는 9건에 불과했지만 서울의 7개 자치구에서 빈대가 발견됐다는 신고가 최근 17건 접수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인천 사우나, 대구 기숙사에 이어 서울 고시원과 쪽방촌에서도 빈대 신고가 이어지며 시민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김기범 <br>영상편집: 이승은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