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총선 앞두고 요즘 정부가 국민들이 좋아할만한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는데요. <br> <br>오늘은 통신료, 5G 요금을 3만원 대로 낮추고, 소상공인과 가정용 전기료는 동결 묶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정현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정지윤 / 경기 성남시] <br>"(통신비가) 옛날에는 한 5~6만 원이면 됐던 것 같은데 요즘엔 한 10만 원이 훌쩍 넘어가더라고요." <br> <br>[박화영 / 서울 영등포구] <br>"굳이 비싼 요금제 쓰면서까지 5G 요금제를 하고 싶지 않았어요." <br> <br>휴대전화 요금이 부담된다는 목소리가 커지면서 정부가 4개월 만에 통신비 절감 대책을 추가로 내놨습니다. <br><br>4만 원 중후반대인 5G 최저 구간 요금을 3만 원대까지 낮추고 5G 단말기로 5G뿐만 아니라 LTE 요금제도 가입할 수 있게 합니다.<br> <br>5G가 LTE보다 월등히 빠르지 않은 현 상태에서 소비자들 선택폭은 넓어지고 요금 부담은 줄어들 것이란 반응이 나옵니다. <br> <br>[차모 씨 / 서울 영등포구] <br>"LTE를 사용했을 때랑 뭔가 엄청난 속도가 차이가 있다, 이런 건 체감되지 않고. (LTE 요금제를) 한 번 고려해 볼 만할 것 같아요." <br> <br>30~80만 원대 중저가 단말기도 내년 상반기까지 출시할 수 있도록 제조사와 협의 중입니다. <br> <br>통신비 못지않게 물가 부담을 주는 전기요금도 소상공인용과 가정용은 동결합니다. <br> <br>[강경성 /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] <br>"집중적인 요금 인상이 이루어져서 일반 가계나 소상공인들의 부담이 매우 커졌다는 점을 고려했고요." <br><br>산업용 전기요금은 kWh당 평균 10.6원 올리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다만 영세기업 약 40만 호에 대해선 요금을 동결했고, 대기업과 중견기업, 전기 사용량이 많은 일부 중소기업들의 전기요금이 올라갑니다. <br> <br>가스 요금도 마찬가지로 동결합니다. <br> <br>공매도 금지, GTX 조기개통에 이어 통신비 절감 방안과 전기·가스요금 동결까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부가 국민의 마음을 붙잡기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습니다.<br> <br>채널A 뉴스 정현우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이호영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정현우 기자 ed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