김포시 서울 편입의 득실을 따져보는 YTN 연속보도, 이번엔 쓰레기매립지 문제를 다뤘습니다. <br /> <br />김포시는 공식적으로 편입과 매립지 문제는 무관하다고 밝혔지만, 서울시의 쓰레기를 받아줄 매립지 유치설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의 입장에선 대체 매립지 문제가 '발등의 불'이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준엽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'편입' 논란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이뤄진 서울시장과 김포시장의 만남. <br /> <br />편입 대가로 김포시에 쓰레기매립장이 유치될 수 있느냔 질문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두 사람 모두 구체적 언급은 피했지만, 답변의 분위기는 묘하게 달랐습니다. <br /> <br />김포 측은 권한이 아니라며 답을 안 했지만, <br /> <br />[김병수 / 경기 김포시장 : 수도권매립지는 저희 김포의 권한이 아니기에 제가 뭐 말씀드릴 일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서울시장은 가능성이 없다곤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오세훈 / 서울시장 : 주민기피시설을 주변에 논의되는 지자체에 넘기거나 할 생각은 없습니다. 그럴 가능성은 매우 적다…] <br /> <br />가장 큰 혐오시설로 꼽히는 쓰레기매립장의 김포 유치 문제가 나오는 건 서울시에 남은 시간이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의도 6배 정도, 단일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수도권매립지입니다. <br /> <br />30년 넘게 서울, 경기, 인천 지역의 쓰레기를 받아왔지만, 이제 서둘러 대체지를 물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매립지의 운영은 서울과 경기도, 인천시 등의 협의로 결정되지만, 결정적인 '매립 승인권'은 전적으로 인천시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인천시가 3년 뒤인 2026년까지 무조건 매립지 운영을 끝내겠단 입장이고, 이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[유정복 / 인천시장 (지난해 6월, 당시 당선인) : 매립지 문제를 해결하려면 대체매립지를 만들어야 하는 것, 당연한 거 아닙니까? 대통령께서도 공약했고…] <br /> <br />그러나 대체매립지 선정은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재작년 두 차례 공모에서 2,500억 특별지원금 등 갖은 유인책에도 불구하고 매립지를 유치하겠다고 나선 지자체는 단 한 곳도 없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아직 사용하지 않은 수도권매립지 일부가 걸쳐있고 비교적 여유 부지도 많은 김포가, <br /> <br />서울 편입을 고리로 기존 매립지 이용 연장이나 대체지 유치를 통해 '해결사'를 자처할 수 있다는 전망이 스멀스멀 나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종경 / 경기 김포시 4년 거주 : 수도권 4 매립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준엽 (leejy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11013294136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