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성큼 다가온 겨울...난방기기 화재 예방 어떻게? / YTN

2023-11-10 53 Dailymotion

어느새 날씨가 추워지면서 잠자고 있던 난방기기를 꺼내 사용하기 시작한 분들 많으실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매년 겨울 난방기기로 인한 화재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어떻게 하면 화재를 예방할 수 있을지, 권준수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 말 한파 속에 화재가 발생했던 제주도의 한 가정집입니다. <br /> <br />온 집안이 새까맣게 타버렸는데, 집을 비운 사이 켜져 있던 전기장판에서 불이 시작됐습니다. <br /> <br />겨울철 난방기기로 인한 화재 사고는 최근 5년간 무려 8천2백여 건, <br /> <br />매년 겨울 천6백 건가량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대부분 사용자 부주의가 원인으로 올바른 난방기기 사용법이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오랜 기간 사용하지 않았던 전기장판과 히터 등은 꺼내서 바로 쓰기보다 전원을 연결하고 1시간 이상 문제가 없는지 지켜보는 게 좋습니다. <br /> <br />[김종현 / 서울 중부소방서 현장대응단 : 노후 된 전기장판이 접혀있을 경우 안에 들어있는 열선이 꺾이거나 과부하가 걸려 화재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. (전기장판은) 되도록 접히지 않게 사용하시고….] <br /> <br />보일러를 사용할 땐 미리 보일러실을 청소하고 환기를 자주 시켜줄 필요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만약 난방기기를 사용하는데 타는 냄새가 조금이라도 난다면 바로 사용을 중단하고 점검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. <br /> <br />문어발식으로 콘센트를 사용해 선이 꼬이는 경우가 없는지 점검하는 것도 필수, <br /> <br />특히 잠을 잘 때 두꺼운 이불을 전기장판 위에 깔거나, 히터를 이불이나 침대 근처에 두는 건 위험합니다. <br /> <br />[함은구 / 한국열린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: 축열을 하거든요. 그래서 온도가 높아지면서 라텍스를 사용하는 특정 소재의 침구류 같은 경우에는 발화 가능성이 굉장히 높거든요.] <br /> <br />또한, 수도 동파 방지 등에 쓰이는 열선에는 먼지가 쌓여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야 합니다. <br /> <br />등유를 사용해야 하는 보일러에 휘발유 같은 다른 기름을 넣는 건 금물입니다. <br /> <br />나무 땔감을 쓰는 화목 보일러는 주변에 장작 등 가연성 물질을 치워두는 게 현명합니다. <br /> <br />무엇보다 주택용 소화기와 단독경보감지기 등을 갖춰두고 자주 점검해야 만일의 화재가 발생했을 때 초기 대응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준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촬영기자; 신홍 <br /> <br />그래픽; 박유동 <br /> <br />화면제공; 서울 중부소방서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1104503571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