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재선충병이 2년 새 3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후 변화로 재선충의 활동은 활발해지는 데, 방제 예산을 줄인 것이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내년도 방제 활동이 재선충병 '대 확산'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포항 부근에 있는 숲입니다. <br /> <br />녹색 수목 사이에 노랗게 변한 소나무가 보입니다. <br /> <br />치명적인 재선충에 감염돼 말라 죽은 겁니다. <br /> <br />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나무에 알을 낳고 그 알이 유충이 되면 재선충이 침투합니다. <br /> <br />감염된 유충이 성충이 된 뒤 소나무 잎을 갉아먹을 때 재선충이 옮겨가는 방식으로 병이 퍼집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4년 2백만 그루 넘게 감염되는 '대 확산' 이후 감소세를 보이던 재선충병이 올해 100만 그루를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2년 새 3배 가까이 급증한 겁니다. <br /> <br />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후 변화가 꼽힙니다. <br /> <br />[한혜림 / 산림과학원 산림 병해충 연구과 : 봄철 고온으로 매개충의 활동 시기가 빨라지고, 산불 확산으로 재선충병 대응 인력이 분산된 탓도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거기에 재선충병이 감소하며 안정세를 보이자 방제 예산을 줄인 것도 문제로 지적됩니다. <br /> <br />2014년 이후 매년 늘던 방제 예산은 2017년을 기점으로 줄었고, 지난해에는 2015년 대비 절반 정도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감염된 나무가 급증하자 예산을 추가 투입했지만, 효과가 바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. <br /> <br />[남상현 / 산림청장 : 재선충병은 곤충과 수목, 질병이 한데 얽혀있어 첨단 과학으로도 해법을 찾기 어려운 산림 병해충입니다. 따라서 재선충병의 확산을 막으려면 꾸준한 관심과 함께 매년 지속적으로 방제에 나서는 것이 최선의 대처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2014년 '대 확산'으로 집중 방제가 이뤄졌지만, 가시적인 효과는 5년 이후에나 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내년도 방제의 강도가 재선충병이 다시 '대 확산'할지 아니면 감소할지를 가르는 중요한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1204272505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