길거리를 지나가다 보면 흡연구역이 아닌데도 담배를 피우거나 여기저기 담배꽁초가 버려진 모습 쉽게 보실 수 있으실 텐데요. <br /> <br />무단투기 단속이나 수거 보상제는 꽁초 쓰레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보니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하단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안동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긴 집게를 들고 광장 이곳저곳 돌며 담배꽁초를 줍는 김성욱 씨와 조원민 씨. <br /> <br />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하던 중 담배꽁초 문제가 심각하다는 주민 말을 들은 뒤부터 꽁초를 줍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성욱, 조원민 /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운영자 : 일단 한 번 줍기라도 주워보자. 한두 명의 사람이 줍다 보면 뭔가 방법이 생각나지 않을까.] <br /> <br />석 달 넘게 꽁초를 주우며 느낀 건, 암묵적인 흡연장소가 된 곳에 죄책감 없이 꽁초를 버리는 사람이 많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성욱 / 지역 커뮤니티 플랫폼 운영자 : 자체적으로 컵 같은 걸 놔둬서. 네, 수거함처럼 하고, 그다음에 꽉 차니까 못 하니까 바닥에 또 버리고….] <br /> <br />흡연 부스가 갖춰져 있더라도 수거함이 쓰레기로 가득 차기 일쑤여서 담배꽁초 버릴 곳이 마땅치 않습니다. <br /> <br />[김영선 / 근로 봉사원 : 담배만 피우면 좋은데, 쓰레기장인 줄 알아요. 오물을 갖다가 음식물 쓰레기를 가져다가 집어넣고 빈 캔 같은 거 먹다가 그냥 넣고 하는 바람에….] <br /> <br />지자체에서 무단투기 단속을 하고는 있지만, 모든 흡연자를 실시간으로 단속하기에는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담배꽁초를 수거해 오면 현금 등으로 보상해주는 제도가 도입되기도 했는데, 재활용할 곳이 마땅치 않다는 이유로 지금은 대부분 중단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손쉽게 담배꽁초를 버릴 수 있는 시설을 갖추는 게 최선이지만, 간접흡연 피해는 물론, 자칫 금연정책이 후퇴하는 것처럼 비칠 수 있다는 게 걸림돌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고민 끝에 서울 성동구는 지난해 스마트 흡연 부스를 선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흡연 부스는 밖으로 담배 연기가 빠져나오지 않아 지나가는 시민들에게도 피해를 주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투입구 크기도 작아 꽁초만 버릴 수 있는 데다 담뱃불을 자동으로 꺼주는 기능까지 갖춰 다른 흡연 부스보다 주변이 훨씬 청결합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무단투기를 줄이려면 일부 해외 국가처럼 꽁초 수거 비용을 담배회사가 일부 부담해야 한다는 지적도 일각에서 나오고 있습니다.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동준 (eastj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111206271347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