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생활물가 밀착 관리 들어간 정부…꼼수 인상 우려도

2023-11-12 1 Dailymotion

생활물가 밀착 관리 들어간 정부…꼼수 인상 우려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가 생활물가 밀착 관리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들의 체감도가 높은 농식품 28개를 지정해서 매일 가격 동향을 살피고,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겠다는 건데요.<br /><br />일종의 가격 통제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서형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농식품 28개 품목에 대해 매일 가격 점검에 들어갑니다.<br /><br />이들 품목 물가에 밀착 관리를 결정한 것은 소비자들의 물가 체감이 높은 품목들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들 품목은 지난 1년 사이 약 4%, 2년 전과 비교하면 10% 가까이 가격이 올랐는데, 특히 2년 전과 비교하면 밀가루 36%, 설탕 34%, 피자 23% 등 두자릿수 인상률을 보인 품목이 상당했고, 해 먹는 것도 부담스럽게 배추는 63% 넘게 값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농림축산식품부 등은 품목별 물가 관리 전담자를 두고 생산업체, 외식업체 등과 릴레이 간담회를 열어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 중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부 업체들은 꼼수 가격 인상으로 대응 중입니다.<br /><br />농심의 경우 신라면은 50원 인하했지만, 신라면보다 50% 비싼 신제품을 내놓는가 하면, 풀무원은 소비자들도 모르게 냉동 핫도그 제품 내용물을 5개에서 4개로 줄여버렸습니다.<br /><br />롯데웰푸드, 동원F&B, 해태 등도 비슷한 행태를 보였습니다.<br /><br /> "가격을 인상하면 소비자들의 저항이 크고 이제 꼼수로 상품의 양을 줄이거나 아니면 개수를 줄이는 그런 슈링크플레이션을 이용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일시적인 가격 인상 자제 이후 일어날 풍선 효과를 걱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가격 통제가 끝나게 되면 지금 가격을 올리지 못한 기업들은 현재의 이윤 감소를 만회할 정도로 더 큰 폭으로 가격을 올릴 겁니다."<br /><br />이어 정부 비축물량의 시장 공급 확대, 외산 식재료의 경우 할당관세 인하 등이 해법이라며, 시장에 인위적인 개입을 통한 가격 통제가 영원할 수는 없다고 조언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. (codealpha@yna.co.kr)<br /><br />#생활물가 #가격통제 #꼼수인상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