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 이번 주는 동정민 앵커 대신 제가 진행합니다.<br> <br>잠시 가라앉아있었던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. <br><br>법원이 이 대표의 위증교사 사건 재판을 대장동 의혹 같은 다른 사건들과 따로 떼어내 심리하기로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위증교사 사건의 경우 구조가 단순해서 단 기간에 재판이 끝날 가능성이 높습니다. <br> <br>이르면 내년 총선 전에 1심 선고가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.<br><br>5개월 뒤 총선을 앞두고 큰 변수로 떠올랐습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 소식, 백승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법원은 오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위증교사 혐의에 대한 첫 공판 준비 기일을 열었습니다. <br> <br>위증교사 재판을 기존 대장동, 백현동 재판과 합쳐서 진행할지, 따로 떼어 진행할지 결정하기 위해서였습니다. <br> <br>이 자리에서 재판부는 위증교사 사건은 따로 심리하겠다고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대장동 사건과 관련이 없고 쟁점이 다르다는 이유에서였습니다. <br> <br>그동안 이 대표 측은 대장동, 백현동 재판과 합쳐지기를, 검찰 측은 별도 심리를 요구해 왔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 (지난 7일)] <br>"(위증교사 사건 병합하면 재판 지연될 거란 지적도 있는데) <br>..."<br><br>하지만 재판부는 분리 심리키로 한 가운데 "통상적인 위증 교사 재판처럼 진행하겠다"며, "이 대표 측 변호인들이 재판 준비하는 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> <br>이번 결정으로 이 대표는 많게는 일주일에 세 차례 법원에 출석하게 됩니다. <br> <br>위증교사 의혹 사건은 이 대표가 경기도지사 시절이던 지난 20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. <br> <br>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던 이 대표가, 당시 성남시장 수행비서에게 "자신에게 유리하게 증언해달라"고 요구한 혐의입니다. <br> <br>사건이 단순한 만큼 1심 재판 결과는 내년 4월 총선 전에 나올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> <br>민주당에 비상이 걸린 가운데 정치권에서도 재판 진행 상황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백승우 기자 stri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