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주 69시간제 사실상 철회…현행 ‘주 52시간’ 기본 틀 유지

2023-11-13 3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말 많던 근로시간 개편 방향이 정해졌습니다.<br> <br>결국 돌고 돌아 현행 주 52시간제의 큰 틀을 유지하되 일부 업종에만 변화를 주기로 한 겁니다.<br> <br>총선을 앞둔 부담감 탓인지 구체적인 내용은 대부분 빈칸으로 남겼습니다.<br> <br>서상희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현행 주 52시간제의 기본 틀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<br><br>일부 업종에 대해서만 일이 몰릴 때 일하고 없을 때 쉴 수 있는 유연화를 하자고 한발 물러선 겁니다.<br> <br>[이성희 / 고용노동부 차관] <br>"필요한 업종·직종에 한해, 노사가 원하는 경우 연장근로 관리 단위를 1주로 한정하지 않고 선택권을 부여하는 제도 개선을 추진하겠습니다." <br><br>앞서 지난 3월 정부는 연장근로 단위를 현행 '주' 단위에서 월, 분기, 연 단위 등으로 운영하는 개편안을 발표했다가, 주 69시간 근무 논란에 휩싸였습니다.<br> <br>여론 악화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진화에 나서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윤석열 대통령 (지난 3월, 국무회의)] <br>"주당 60시간 이상의 근무는 건강 보호 차원에서 무리라고 하는 생각은 변함이 없습니다." <br><br>이번 개편안은 대국민 설문 조사를 거쳐 마련됐습니다. <br><br>전체 업종에 적용하려던 근로시간 유연화를 일부 업종·직종으로 제한하고, <br><br>대상 업종과 근로 시간 상한도 노사정 대화에서 풀어가는 방식으로 바꾼 겁니다.<br> <br>때마침 한국노총도 대통령 직속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복귀를 선언했습니다. <br> <br>[이지현 / 한국노총 대변인] <br>"사회적 대화 복귀에 대한 대통령실 요청이 있었고요. 원래 한국노총은 대화와 투쟁을 병행하는 입장입니다." <br> <br>지난 6월 노총 간부에 대한 강경진압 등을 이유로 경사노위를 이탈한 지 5개월 만입니다. <br> <br>한국노총의 대화 복귀로 정부의 노동 개혁 추진에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서상희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서상희 기자 with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