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(수능) 수학은 9월 모의평가와 비슷한 출제 기조를 유지하면서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했다는 평가가 나왔다.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이나 불필요한 개념으로 실수를 유발하는 '킬러문항'(초고난도 문항)은 출제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교사들 “최상위권 변별력 높아졌다” <br /> EBS현장교사단은 16일 수능 2교시 수학 영역 직후 열린 출제 경향 브리핑에서 “올해 9월 모의평가 출제 기조를 따르면서도 응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한 난이도의 문항들을 배치했다”고 밝혔다. <br /> <br /> 심주석 인천하늘고 교사는 “9월 모의평가와 구성면에서 매우 흡사하다. 지나친 계산을 요구하거나 불필요한 개념으로 실수를 유발하는 문항 등 소위 킬러문항은 배제됐고, 최상위권 학생들부터 중하위권 학생들까지 충분히 변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난이도의 문항이 골고루 출제됐다”고 평가했다. 이어 “최상위권엔 작년 수능과 9월 모의평가 사이(난이도)가 되지 않을까 한다”고 했다. <br /> <br /> 지난해 수능 수학은 표준점수 최고점이 145점으로 ‘불수학’으로 불렸다. 표준점수 최고점은 통상 시험이 어려워 전체 평균 점수가 내려갈수록 높아진다. 통상 표준점수 최고점이 145점 이상이면 어려운 수능, 135점 이하면 쉬운 수능으로 평가한다. <br /> <br /> 올해 9월 모의평가도 표준점수 최고점이 144점으로 지난해 수능과 비슷해 전반적으로 쉬운 시험은 아니었다. 하지만 만점자(표준점수 최고점) 수가 지난해 수능은 934명이었지만 9월 모의평가에서 2520명으로 대폭 늘어나 최상위권 변별력이 낮다는 평가가 나왔다. <br /> <br /> 이에 대해 심 교사는 “(상대적으로 어려운) 단답형 문제 정답률을 9월 모의평가보다 조금 더 강화해 최상위권 변별력을 확보했다”고 설명했다. 단답형인 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207796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