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사를 지으면서 나오는 부산물이 골칫거리가 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처리 비용도 만만치 않은데요, <br /> <br />전님농업기술원과 지역 대학이 농업 부산물의 산업 자원화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범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리나라에서 양파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고장입니다. <br /> <br />이른 아침부터 내다 팔 양파 고르기가 한창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저장한 양파 가운데 20% 정도는 썩거나 해서 부산물로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옥길 / 전남 서남부채소농협 전무 : 환경법상 산업 폐기물로 분류가 돼 실제 저희 양파 재선별 포장하는 데 있어 비용이 조금 많이 들고 있습니다, 1kg에 140원씩….] <br /> <br />농업 부산물 일부는 불로 태워지고 땅에 묻어지는 등 어떻게 처리가 되는지도 불분명합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에서는 유기물인 농업 부산물을 활용한 연구를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추진하는 쓰임새는 친환경 농업용 자재입니다. <br /> <br />[이형술 /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공학부 교수 : 고부가가치의 농업 플라스틱 소재로 흔히 리사이클링 이상의 업사이클링이라는 그런 신기술을 적용해서 우리가 순환 경제를 실현하고 이 과정에서 농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탄소 발생량을 많게는 70%까지도 저감할 수 있는….] <br /> <br />농업 부산물은 주로 양파와 배추 그리고 고구마 등입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서 한 해 나오는 농업 부산물은 천만 톤 정도가 되는 것으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추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남농업기술원은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와 손잡고 농업 부산물 재활용 연구에 힘을 모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농업 부산물과 잔재물로 생분해성 소재를 만들어 온실가스를 줄임으로써 농업 분야에서도 탄소 중립을 실천하자는 취지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연구·개발 예산을 대폭 삭감하려는 먹구름 속에 R&D는 미래를 위한 밑거름이므로 관련 펀드 조성도 추진됩니다. <br /> <br />[박홍재 / 전남농업기술원장 : 세계적인 에너지 분야 특화 대학인 한국에너지 공과대학과 농업 현안의 가장 큰 문제점인 농업 부산물을 활용한 농자재 자원화 개발을 위해 공동으로 대응하고 특히 사업 발굴을 하기 위해서 공동 대응해 나가겠습니다.] <br /> <br />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는 유리 섬유 등과 결합한 농업 부산물은 방위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보고 연구 범위를 넓혀 나갈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범환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범환 (kimb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31118113557705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