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용히 지나간 북한 '미사일공업절'…도발 자제 배경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어제(18일)는 북한의 '미사일공업절'로 올해가 첫 기념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ICBM을 비롯한 미사일 개발 성과를 부각하기 위한 기념일인데도 북한이 정찰위성이나 탄도미사일 발사 등의 무력 도발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지나 보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이달 초 열린 회의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(ICBM) '화성-17형' 시험발사에 성공한 날을 '미사일공업절'로 지정했습니다.<br /><br /> "2022년 11월 18일을 우리식 국방 발전의 성스러운 여정에서 특기할 대사변이 이룩된 역사의 날로 영원히 기록하며…."<br /><br />올해가 첫 미사일공업절이지만, 북한 매체에서는 이 기념일을 부각하거나 미사일 개발 성과를 자랑하는 언급이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일각에서는 북한이 미사일공업절을 맞아 정찰위성 3차 발사에 나서거나 최근 엔진 연소 시험을 한 고체연료 중거리 탄도미사일(IRBM)을 시험발사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이 같은 예상은 빗나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앞서 2차례의 정찰위성 발사 때마다 국제해사기구(IMO)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에 '인공위성 발사' 계획을 통보하곤 했는데, 3차 발사와 관련해선 아직 아무런 소식이 없습니다.<br /><br />고체연료 IRBM과 관련해서는 북한이 엔진 시험에 대해 '성공'이라고 명확하게 밝히지 않은 점으로 미뤄 개발 완성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1계단과 2계단 발동기의 첫 지상 분출 시험들에서는 대단히 만족스러운 결과가 이룩됐으며…."<br /><br />한편 북한은 9월 13일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2발 발사한 이후 두 달 넘게 무력시위에 나서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기간 미국 핵추진 항공모함이 우리나라를 다녀갔고, 핵무장이 가능한 미국 전략폭격기 B-52H가 2차례나 한반도에 전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이런 모습을 두고 러시아에 수출할 단거리 탄도미사일 물량을 맞추기 위해 소모적인 발사를 자제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미사일공업절 #탄도미사일 #정찰위성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