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■ 방송 : 채널A 뉴스 TOP10 (17시 20분~19시)<br>■ 방송일 : 2023년 11월 20일 (월요일)<br>■ 진행 : 김종석 앵커<br>■ 출연 : 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, 서용주 민주당 상근부대변인, 윤희석 국민의힘 선임대변인, 조상규 변호사<br><br>[김종석 앵커]<br>본인과 뜻을 같이 하는 온라인 연락망이 주말에 2만, 3만 넘어서 4만 명 정도 된다. 그리고 동일 인물인지 같이 할 수도 있다는 의혹을 누군가가 제기하긴 했는데 일단 이것은 차차하더라도. 이준석 전 대표 이야기가 나오면 박원석 의원께 첫 질문을 항상 드리고 싶은 생각이 있어서. 요즘도 소통하시잖아요, 일단. 4만 명이 넘었다. 신당 창당의 퍼센트를 올라가고 있는 거냐 아니면 중간에 잠깐 멈추고 57, 8% 멈추고 몸값을 올리는 대로 올리고 있는 것. 어떤 시각을 좀 저희가 갖는 것이 맞는다고 보세요?<br><br>[박원석 전 정의당 의원]<br>일관되게 이야기하는 것은 윤 대통령이 변하셔서 국정 운영의 기조가 달라지면 하고 싶어도 신당의 명분도 없고 공간도 없다, 이 이야기거든요. 안 달라지면 가는 것이다, 이 이야기를 지금 일관되게 하고 있어요. 다만 이준석 전 대표가 유턴을 염두에 두고 계속 그런 식의 시그널을 당내로 보내는 것 아니냐. 그런 것은 아닌 것 같아요. 오히려 시각을 달리 교정을 해서 이렇게 이제 일종의 카운트다운을 하듯이 이슈의 중심을 본인을 위치해 놓고서 계속 이제 이슈몰이를 하고 있는 것이라고 보면 일종의 하나의 이제 기획이고 전략인 것이죠.<br><br>(뉴스를 만드는 것을 하고 있다?) 그렇죠. 저 무슨 연락망이라는 것도 저것이 당원 모집이나 창당 발기인 모집하고는 조금 다른 것이거든요. 그냥 구글 폼을 통해서 이른바 이준석 전 대표의 지지자들. 출신 지역이나 연락처 이런 정도로 규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이 창당 용도로 활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전제하고 모으는 거예요. 그러나 이것이 어쨌든 또 뉴스의 중심에 가지 않습니까. 상당하면서 이벤트가 되고 있는데. 국민의힘에서는 지금 이준석 전 대표 문제를 어떻게 다뤄야겠다는 명확한 전략이 없는 것 같아요. 이러지도 못하고 저러지도 못하고 두고 보고 있는 상황인 것 같은데. 한편에서는 좀 안 했으면 좋겠다, 신당 창당을. 우리랑 했으면 좋겠다.<br><br>그런데 정작 이준석 전 대표의 마음을 돌리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는 없고. 다른 한편으로는 그것이 원심력으로 작용할까 봐 계속 폄훼하고 깎아내리는 그런 언급들을 돌아가면서 하고. 결국 마땅한 지금 대 이준석 전략은 없는 채로 뉴스는 이준석한테 끌려가고 있는 이런 상황이거든요. 그런 면에서 봤을 때 이것이 이제 시간이 계속 가면 갈수록 12월 27일이라는 예고된 시점이 다가오면 다가올수록 어떻게 보면 국민의힘 입장에서는 초조해질 것 같아요. 그러면 명확하게 국민의힘이 이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는 대책이나 아니면 이준석의 마음을 돌리기 위한 어떤 계획이 서야 하는데. 그런 것 없이 계속 이런 식으로 하루는 비난했다, 하루는 걱정했다. 이런 것으로 대응이 안 된다고 봅니다.<br><br>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<br>*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.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<br>* 정리=김지현 인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