식품업계 가격 올리더니 실적잔치…'꼼수인상' 도마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식품업계가 잇따라 호실적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업계는 해외시장에서의 사업 성과를 강조하고 있지만,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섰을 뿐만 아니라 용량을 줄이는 등 꼼수인상에도 나섰던 만큼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식품업계가 불황에도 잇따라 깜짝 실적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빙그레의 3분기 영업이익은 654억원으로 1년 전보다 153.9% 급증했습니다.<br /><br />삼양식품은 124.7%, 농심 103.9%의 증가세를 나타냈고, 오뚜기와 매일유업, 풀무원도 영업이익이 50% 이상 뛰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식품업계는 라면·빵·과자·아이스크림 등 식료품 가격을 줄줄이 올린 바 있어 기업의 탐욕이 물가상승을 가져온다는 이른바 '그리드플레이션'에 대한 비판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특히 최근에는 몰래 용량을 줄이는 '슈링크플레이션' 등 꼼수 인상에도 나선 상황.<br /><br />저렴한 재료로 교체하는 '스킴플레이션', 대용량 묶음 상품을 낱개 상품보다 비싸게 파는 '번들플레이션' 등 다양한 눈속임으로 소비자들을 속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그것은 저는 정직한 판매 행위가 아니라고 생각하고… 가격은 그대로 두면서 양은 줄여서 팔 경우에 그건 판매자의 설사 자율이라고 하더라도 소비자에게 정당하게 알릴 필요가 있다."<br /><br />식품업계는 호실적에 대해 "해외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원재료와 인건비 상승 부담은 계속 커지고 있다"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원재료 가격이 하락한다고 가격을 내리는 경우는 잘 없었던데다 최근 꼼수인상도 도마에 오르면서 식품업계가 고물가를 부채질한다는 비판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식품업계가 4분기에도 호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와 소비자단체들의 물가 안정을 요구하는 목소리는 더 커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식품업계 #실적 #가격인상 #꼼수인상 #그리드 #고물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