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내일 또 서울지하철 파업이 예고됐습니다. <br> <br>이번엔 아예 무기한 파업을 하겠다고요. <br> <br>경영적자로 인한 인원감축에 노조는 반발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 시간, 노사는 막판 교섭을 벌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그 현장에 김민환 기자 나가 있습니다. <br> <br>Q. 김민환 기자, 결렬되면 또 파업하는 건데, 어떻게 될 것 같아요?<br><br>[기자]<br>노사가 막판 교섭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의견 차가 크게 좁혀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교통공사 노사는 3시간쯤 전인 오후 4시 막판 교섭을 시작했는데요. <br> <br>협상이 결렬되면 지난 9일에 이어 내일 오전부터 또다시 총파업에 돌입합니다. <br> <br>지난 9일 파업에는 전체 직원 1만 6천 명 가운데 민노총 소속 조합원 4천4백여 명만 1박 2일 경고 파업을 진행했습니다. <br> <br>이번에는 기한을 정하지 않은 무기한 파업을 예고했습니다. <br> <br>노조는 오는 2026년까지 2212명을 감축하겠다는 사측의 계획에 반발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경고파업 이후에도 노사는 평행선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공사 측은 17조 원이 넘는 누적 적자를 해결하고 경영 정상화를 위해 인력 감축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또 파업 참여 노조원들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할 방침인데요. <br> <br>공사는 지난 경고 파업에 참여했던 노조원들의 임금을 삭감하고, 내일로 예정된 파업에 동참하는 노조원들에 대해서도 '무노동 무임금'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양측은 오늘 밤 늦게까지 교섭을 이어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다만, 지난 파업에 이어 내일도 한국노총 노조 등은 동참하지 않을 예정이라 파업 동력이 떨어진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결렬되면 내일 오전 9시부터 실질적인 파업이 시작돼 출근 시간 불편은 크게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하지만 지난 파업처럼 운행률이 줄면서 퇴근길 혼잡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서울교통공사 교섭현장에서 채널A 뉴스 김민환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김래범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br /><br /><br />김민환 기자 kmh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