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돈잔치 비난' 은행권 상생안 고심…2조원 풀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돈잔치 비난을 받는 은행들이 상생금융 방안을 놓고 고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느 정도 규모면 금융당국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지 고민이 큰 건데요.<br /><br />업계에선 2조 원 규모의 초대형 상생안이 발표될 거란 예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박지운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의 압박 속에 올해 안으로 상생금융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은행권.<br /><br />은행권은 금융당국 눈높이에 맞는 적절한 방안을 찾아야 한다는 숙제를 떠안았습니다.<br /><br />현재 업계에선 상생금융 규모를 '횡재세'에 맞춰야 한다는 이야기가 나옵니다.<br /><br />금융당국이 횡재세로 2조 원을 내는 대신 은행들 스스로 2조 원 규모의 기여 방안을 찾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횡재세 관련해서 법안이 나와있지 않습니까. 그런 걸 보면 대개 국회에서 그리고 국민들이 요구하는 수준이 어느 정도 수준이다 이런 거를 감안을 할 거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지난 14일 발의된 횡재세 법안에는 은행의 이자수익이 직전 5년 평균의 120%를 넘는 경우 초과이익의 40%까지 기여금을 내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.<br /><br />해당 법안에 따르면 은행들이 내야 하는 초과이익 기여금은 최대 2조 원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앞서 이번달 초 일부 금융지주가 내놓았던 1천억 원 규모의 상생안에 대해 당국 반응이 차가웠던 점도 상생금융 규모를 대폭 키워야 한다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과연 반도체와 자동차와 다양한 혁신만큼 혁신을 해서 60조의 이자이익을 거둘 수 있는 건지에 대해 은행 산업에 계신 분들이 현실적인 판단을…."<br /><br />은행들은 재단출연이나 기부 등 각종 아이디어를 짜내며 고심하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일각에선 상생금융이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며, 과도한 관치금융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. (zwoonie@yna.co.kr)<br /><br />#상생금융 #금융위원회 #횡재세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