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모바일 상품권을 온라인에서 중고 거래할 때 조심해야겠습니다.<br> <br>상품권 사진을 올릴 때 바코드를 모자이크 처리해도, 포토샵으로 복원해서 훔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.<br> <br>백승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30대 남성의 집으로 경찰이 급습합니다. <br> <br>쇼핑백을 열자 백화점 상품권 다발이 쏟아집니다. <br> <br>1만 원부터 10만 원 권까지 종류도 다양합니다. <br> <br>경찰이 압수한 백화점 상품권은 모두 685장.<br><br>3천만 원어치에 달합니다. <br> <br>모두 중고 거래 애플리케이션에 올라왔던 상품권들입니다. <br> <br>경찰에 붙잡힌 남성은 거래를 위해 앱에 올린 모바일 상품권만 노렸습니다. <br> <br>상품권 바코드를 모자이크 등으로 편집해 가려도 포토샵 기술로 감쪽같이 복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><br>이후 남성은 백화점 등을 돌며 종이 상품권으로 바꾼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1월부터 올해 5월까지 피해자만 130여 명에 달합니다. <br> <br>[성모 씨 / 피해자] <br>"많이 어이가 없었어요. 바코드도 제가 반을 잘랐었어요. 이 사람이 다 살린 거죠 포토샵으로. 뭐 진짜 할 말이 없더라고요." <br> <br>남성은 상품권 교환 때 CCTV 사각지대에서 색깔이 다른 마스크를 바꿔 착용하는 등 치밀한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이정치 / 서울 광진경찰서 수사2과 팀장] <br>"바코드를 기술적으로 복원할 수 있거든요. 앞으로 중고 거래할 때 바코드를 아예 게시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합니다." <br><br>경찰은 이 남성을 사기 혐의로 검찰에 불구속 송치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br /><br /><br />백승우 기자 strip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