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주가 연계 증권 상품 ELS, 은행이 권유하면 어떤 상품인지 잘 모르고 가입하기도 하죠. <br> <br>홍콩 주가가 반토막 나면서 홍콩 H지수와 연계된 ELS 상품의 대규모 원금 손실이 예상됩니다. <br> <br>정부가 급기야 최대 판매사인 KB국민은행에 대한 현장점검에 들어갔습니다. <br> <br>박지혜 기자입니다<br><br>[기자]<br>2021년 노후자금 9억 원을 원금이 보장되는 3개월 단기사채에 재투자하려고 은행을 찾아간 70대 이모 씨. <br> <br>[이모 씨 / 홍콩 ELS 투자자] <br>"'(은행원이 단기사채) 6개월짜리밖에 없다' 딱 얘기를 하는 거예요. 그래서 그러면 어떻게 하냐 했더니 여기 모니터에서 녹음한 게 나오면 지난 번처럼 대답만 하면 된다는 거예요." <br> <br>6개월 뒤에야 자신이 가입한 상품이 홍콩 H지수가 연계된 주가연계증권 홍콩 ELS란 사실을 알게 됐습니다.<br><br>ELS는 기초자산이 되는 지수가 3년 만기 시점까지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면 약속한 이자를 주지만 기준보다 지수가 급락하면 원금을 날릴 수 있는 초고위험 상품입니다.<br> <br>하지만 손실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 부족했습니다. <br> <br>[가입 권유 은행 직원 (2022년 6월)] <br>"이게 만기가 되면 말씀드린대로 원금, 이자 다 드리는 상품이에요. 조건이 맞으면. 근데 막 지금 마이너스가 났다고 해서 막 마이너스가 나는 상품이 아니에요." <br> <br>문제는 홍콩H지수가 2021년 2월 고점을 찍은 뒤 최근 반토막 났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ELS 투자자들의 대규모 원금손실이 예상되면서 금융감독원은 이번주부터 은행권 판매 실태 조사에 나섰습니다. <br><br>올해 6월까지 팔린 홍콩 ELS 잔액은 20조 5천억 원. <br> <br>이중 은행을 통해 16조 넘게 팔렸는데, 그 중 가장 판매량이 많은 KB국민은행에 대한 현장 조사가 진행 중입니다.<br> <br>국민은행 측은 "원금 손실 가능성에 대해 수차례 확인 절차를 거쳤다"고 해명했습니다. <br> <br>내년 상반기 만기가 돌아오는 금액만 4조원이 훌쩍 넘는 가운데, 금감원은 은행의 불완전 판매 여부를 따져볼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박혜린<br /><br /><br />박지혜 기자 sophia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