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도심에는 50층, 60층짜리 초고층 건물이 드물지 않죠.<br> <br>이런 곳에서 불이 나면 어디로 대피해야 안전할까요.<br> <br>최재원 기자가 알려드립니다.<br><br>[기자]<br>초고층 건물에서 연기가 피어오릅니다. <br> <br>소방대원들이 건물 안으로 들어가 물을 뿌리며 진화 작업에 나섭니다. <br> <br>지난달 서울 강남의 주상복합건물 53층 화재 당시 모습입니다. <br> <br>당시 화재 경보를 듣고 입주민 150여 명이 황급히 대피하는 소동도 벌어졌습니다. <br><br>이런 초고층 빌딩 화재에 대비한 소방 대피 훈련이 진행됐습니다. <br> <br>50층 건물 5층에서 빨간 연기가 피어오르자 곧이어 소방차가 도착합니다. <br> <br>사다리차로 소방대원은 건물을 오르고 입주민들이 입과 코를 가린 채 어딘가로 대피합니다. <br> <br>초고층 건물에서 불이 나면, 사는 층의 높이에 따라 대피 방법이 달라집니다. <br><br>저층에서는 지상층으로 신속하게 빠져나오는 게 안전할 수 있지만, 고층에서는 집에서 구조를 기다리거나 지정된 피난안전구역이나 옥상 등으로 대피하는 방법도 고려해봐야 합니다. <br><br>[이민철 / 광진소방서 소방위] <br>"대피하다가 출입문이 막혀 있거나 연기로 시야가 가려져서 복도나 계단참에서 사상자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은데요. 이와 같은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서" <br> <br>현재 25층까지 접근할 수 있는 70미터 사다리차는 전국에 4대뿐인데 초고층 화재에 대비해 앞으로 소방 장비도 보강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재원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최재원 기자 j1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