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북한이 말을 넘어 행동으로 긴장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9.19 군사합의로 5년 전 철수했던 군사분계선 GP 초소에 병력과 무기를 배치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임시 초소를 만들고 중화기를 옮기는 모습도 우리 군에 포착됐는데요.<br> <br>해안포 숫자도 늘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우리도 상응 조치를 준비 중인데요. 도발 수위를 어디까지 올릴지 긴장감은 높아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첫 소식 김태림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북한 군인들이 나무로 만든 초소 주위에서 작업 중입니다. <br> <br> 얼룩 무늬로 초소 외벽에 도색도 합니다. <br> <br> 지난 2018년 9.19 남북군사합의에 따라 감시초소, GP를 파괴했던 자리에 다시 임시 초소를 설치한 겁니다. <br> <br> 무반동 총을 어깨에 매고 이동하는 모습도 보입니다. <br> <br> 열상 장비에는 야간 경계 근무를 서는 북한군의 모습도 촬영됐습니다. <br> <br> 우리 군은 지난 23일 북한이 9.19 합의 전면 파기 선언 이후 중동부 전선에 있는 북한 GP 모습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(지상과 해상, 공중에서) 북남 군사 분야 합의에 따라 중지하였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할 것이다." <br><br> 우리군과 동시에 시범 철수한 북한의 초소는 파주, 연천, 철원 등 11곳으로 10개는 없어졌고 1개는 원형 보존됐습니다. <br><br> 우리 군은 11곳 모두에서 복원 작업이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 합의 파기 이후 북한은 해안포도 대거 개방하며 서해 지역을 위협하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 <br> <br> 평균 1개소에 2문 정도 포문이 열렸지만 지금은 두 자릿수 수준으로 늘린겁니다. <br> <br>[류성엽 / 21세기 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] <br>"급박하게 상황이 진전되고 이런 경우들이 있어요. (포문이 개방되어 있으면) 바로 포를 쏠 수가 있잖아요. 우리가 맞아야 되 포의 규모나 이런 것들이 같이 늘어나는 상황…" <br> <br> 북한이 9.19 군사합의 중에서도 남북 직접 충돌 위험이 높은 휴전선 일대와 서해 NLL부터 위협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채널A 뉴스 김태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태림 기자 goblyn_mik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