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북한이 최전방 감시초소를 복원한 데 이어, 판문점 공동 경비구역에서 다시 무장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 권총을 찼던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의 북한 경비요원들은 9.19 군사합의로 무기를 내려놨었는데, 합의가 깨지면서 다시 무장한 겁니다. <br> <br> 김재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2018년 9.19 남북 군사합의가 체결되기 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, JSA 모습입니다. <br> <br> 경계를 서는 북한군의 허리춤에 권총이 보이고 우리군도 권총을 소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그러나 9.19 군사합의 내용이 일선부대에 적용된 뒤 JSA에선 무전기를 제외하곤 허리춤이 비어있습니다. <br><br> 9.19 군사분야 남북합의서 2조 2항에 따라 '남북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비무장화'한 겁니다. <br><br> 그러나 군사합의 전면파기를 선언한 북한은 최전방 감시초소 복원 작업에 착수한 데 이어 JSA 비무장화도 폐기했습니다. <br> <br> 한미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북측 경비병들이 권총을 다시 차고 근무를 시작한 것은 지난주 후반부터입니다. <br> <br> 북한이 파기하는 만큼 비례성의 원칙에 따라 상응조치를 준비 중인 우리 군은 JSA에서 아직 맞대응 무장은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 JSA를 관할하는 유엔군사령부는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북한군의 위협이 커지는 즉시 재무장을 지시할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 <br>[전하규 / 국방부 대변인] <br>"북한이 노골적인 복원조치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국민 보호를 위한 대비태세 완비 차원에서 필요한 조치들을 시행해 나갈 것입니다." <br> <br> 신원식 국방부장관은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에서 "적이 도발하면 선조치 후보고 대응"하고 "'즉각·강력히·끝까지 원칙'으로 단호하게 응징"할 것을 주문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재혁입니다.<br>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김재혁 기자 winkj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