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그렇게 한마음으로 염원해온 2030 부산엑스포 운명의 날입니다. <br> <br>5시간 뒷면 개최지가 결정이 납니다. <br> <br>한국 이태리 사우디, 우리보다 먼저 뛰어들었고 오일머니로 전력질주한 사우디를 역전할 수 있느냐, 현지에서는 역전했다 기대섞인 전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61조 원의 경제효과도 기대하고 있지만 지방 균형발전과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의미까지 부산 뿐 아니라 여야, 기업, 국민 모두 한마음으로 노력해 왔습니다. <br> <br>긴장감이 극에 달해 있는 파리 현장 소식부터 알아보겠습니다. <br> <br>조은아 파리 특파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 부산 시민들이 '청사초롱'을 들고 파리 센강 근처에서 '부산엑스포' 유치를 응원합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너와 나의 부산!" <br> <br>도심에서는 한복을 입은 외국인들이 제기차기를 합니다. <br> <br> 2030년 세계 박람회 개최지 결정이 임박한 순간까지 파리 시내 곳곳에서 한국과 부산을 알리는 행사가 열렸습니다. <br> <br>[소피 / 프랑스인] <br>"부산 파이팅!" <br><br>우리나라 대표단은 잠시 뒤 최종 발표를 시작합니다. <br> <br>정부와 기업 인사들이 함께 뛰어들 만큼 유치 열망이 강하다는 점을 강조할 예정입니다.<br><br> 각국에 20분 씩 주어지는 최종 연설은 우리나라 부산이 먼저 시작합니다. <br> <br> 우리 대표단은 1차 투표 이후 결선 투표에서 막판 대역전을 시도합니다. <br><br> 최종연설에선 6·25 전쟁 당시 난민들이 몰렸던 부산이 국제사회의 도움 속에 성장했듯이, 우리가 엑스포를 통해 각국 발전을 돕겠다는 내용으로 설득합니다. <br> <br>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과 나승연 전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위원회 대변인이 연사로 나섭니다. <br> <br>[한덕수 /국무총리] <br>"'끝났습니다'라는 종이 울릴 때까지 민간과 정부가 최선을 다해서 노력을 하겠습니다." <br><br> 국제박람회기구 182개 회원국 중 투표권을 가진 179개국이 1차 투표를 하고, 3분의 2 이상 득표국이 없으면 1, 2위 도시를 놓고 결선 투표를 치릅니다.<br> <br>[이경호 / 2030 부산세계박람회 유치지원단장] <br>"우리나라는 큰 열세에서 시작을 했습니다만 지금은 결과를 예측하기 어려울 만큼 박빙의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생각합니다." <br> <br> 결선 투표까지 우리나라와 사우디가 득표수를 뺏고 뺏기는 막판 경쟁이 치열하게 이어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파리에서 채널A 뉴스 조은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이수연(VJ) <br>영상편집: 구혜정<br /><br /><br />조은아 기자 ach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