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일곱 차례 연속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낮출 정도로 경기 상황이 좋지 못한 점을 고려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물가 전망치는 올해와 내년 모두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자세한 내용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. 이형원 기자! <br /> <br />기준금리는 또 동결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번에도 금리를 연 3.5%로 묶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올해 마지막 회의를 열고 금리를 동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월부터 시작한 금리 동결, 이번이 벌써 7번째인데요. <br /> <br />금통위원 전원이 만장일치로 내린 결정입니다. <br /> <br />경기 회복세가 뚜렷하지 않은 점이 크게 작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IT를 중심으로 수출이 살아나고 있긴 하지만, 경기가 제대로 반등하진 못하고 있는 건데요. <br /> <br />그렇다고 경기만 생각해서 금리를 내리기에는 이미 역대 최대치로 불어난 가계 빚 부담이 컸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석 달 연속 오름세인 물가를 자극할 수 있어 금리 인하에는 신중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이미 역대 최대인 2%p로 벌어진 한미 금리 차도 신경 쓰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인데요. <br /> <br />이창용 총재도 가계부채 증가세와 높은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에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론 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사실 시장 관심은 금리 인하 시점일 텐데, 이 부분에 대한 언급도 있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했지만, 세부 의견은 좀 엇갈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 총재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2명은 금리를 현재 수준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었고요. <br /> <br />나머지 4명은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둔 겁니다. <br /> <br />금리 인하와 관련해 직접 언급한 위원은 없었는데요. <br /> <br />다만 이 총재는 한은이 목표로 한 2% 물가 수준으로 수렴할 때까지 통화 긴축 기조를 충분히, 장기간 지속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 과연 2% 물가 수렴 시기를 언제로 보느냐가 관건인데, <br /> <br />이에 대해 이창용 총재는 이렇게 답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창용 / 한국은행 총재 : 2%대 초반으로 2%까지 수렴하는 기간을 내년도 말이나 25년 초반 정도가 되지 않을까 이렇게 지금 예측치로는….] <br /> <br /> <br />경제 성장률과 물가 전망치도 나왔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경제 성장률은 기존 전망치인 1.4%를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총재는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경기가 완만한 개선 흐름을 보여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형원 (lhw9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13014321557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