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저는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병원에 가지 않고도 집에서 진료받는 비대면 진료의 길이 크게 열립니다. <br> <br>그동안 야간, 휴일에 소아청소년들만 비대면 진료가 가능했는데 모든 연령, 그러니까 전 국민으로 확대 됩니다. <br> <br>게다가 재진 두 번째 진료부터 가능했는데 야간과 휴일에는 초진도 가능해집니다. <br><br>약 처방도 허용되고요. <br> <br>병원이 부족해 치료 받기 힘든 지방 주민들 특히 편해질 것 같습니다. <br> <br>김용성 기자입니다. <br> <br>[기자]<br>화상통화로 환자와 대화하는 의사. <br> <br>환자가 말하는 증상을 적으며 진료를 봅니다. <br> <br>직접 병원에 가지 않고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비대면 진료입니다. <br> <br>코로나19 방역 조치가 해제되면서 지금은 시범사업으로만 유지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부 예외를 제외하고는 재진 환자만 이용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만 18세 미만은 야간이나 휴일에 초진이 허용되지만, 처방은 안 됩니다. <br> <br>너무 제약이 많다는 지적에 정부가 개편안을 내놨습니다. <br> <br>[박민수 / 보건복지부 2차관] <br>"휴일·야간 의료취약 시간대에 한해 진료 이력에 관계없이 누구나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" <br> <br>휴일과 야간에는 연령대나 초·재진 여부와 상관없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다. <br> <br>약 처방도 허용됩니다.<br> <br>평일에는 원칙적으로 30일이내 진료 기록이 있는 병원에서 동일 질환에 한해 비대면 진료가 허용됐지만, 6개월 이내로 확대되고 동일 질환 여부에 상관없이 비대면 진료를 받을 수 있게 됩니다.<br> <br>평일 비대면 초진 진료 대상도 확대됩니다. <br> <br>기존 벽지 거주자, 거동불편자 등에서 응급 의료 취약지로 지정된 시군구 98곳 주민도 포함됩니다. <br> <br>대한의사협회는 비대면 진료 확대 방침에 반발했습니다. <br> <br>"의료 질적 향상이나 환자의 건강권 보호가 아닌 편의성만 근거로 삼았다"며 비판했습니다. <br><br>정부의 비대면 진료 개편안은 오는 15일부터 시행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용성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장명석 <br>영상편집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용성 기자 drag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