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IRA법의 해외우려기관(FEOC) 잠정 지침 발표 <br />배터리 업계 "中 합작법인 지분 제한 높아졌으면" <br />안정적 원료 공급 위한 한중 합작회사 설립 활발<br /><br /> <br />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 요건을 강화한 지침을 발표한 것과 관련해 정부는 민관 합동 대응 회의를 열고 배터리 공급망 긴급 점검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안정적인 원료 공급처 확보를 위해 중국 기업들과 합작 법인 설립에 나섰던 국내 기업들은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정부가 중국 자본 지분율이 25% 이상인 합작법인을 인플레이션 감축법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자 내심 중국 합작법인 지분율 제한 범위가 그 이상 되기를 희망했던 국내 배터리 업계는 아쉽다는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 수출 우회로를 찾으려는 중국 기업과 안정적 원료 공급처가 필요한 우리 기업의 이해관계가 맞아 한중 합작회사 설립이 활발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LG화학은 화유코발트와 배터리 전구체 공장을 짓고, 화유그룹과 모로코에 양극재 공장을 지어 북미에 공급하는 포괄적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LG에너지솔루션도 야화와 수산화 리튬을 생산하는 MOU를 맺었고, 화유코발트와는 배터리 리사이클 합작 법인을 세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SK온과 에코프로는 중국 거린메이와 전구체 생산을 위한 3자 합작 법인을 설립한다는 계획이며,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퓨처엠은 중국 CNGR과 이차전지용 니켈과 전구체 생산 공장을 짓는 합작 투자 계약을 체결했습니다. <br /> <br />산업통상자원부는 민관 합동 대응 회의를 열어 배터리 공급망 긴급 점검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배터리 업계는 한중 합작 법인의 지분 비율을 조정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기업들의 불확실성 개선을 기대하면서 미국에서 우리 친환경차 판매의 53%를 차지하는 상업용 친환경차에 이번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건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[장영진 /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: 중국 의존도가 높은 공급망을 자립화해서 배터리 산업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 같습니다. 흑연을 사용하지 않는 리튬 메탈 배터리도 개발할 예정입니다.] <br /> <br />우리 기업들은 미국 완성차 기업과의 중장기 계약을 통해 향후 미국 내 배터리 셀 생산량의 50% 이상을 확보한 상태. <br /> <br />업계의 전반적인 반응은 혹시나 기대해봤는데, 역시나 우려했던 결과가 나왔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정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120217581556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