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뉴스에이 시작합니다.<br> <br>김윤수입니다. <br> <br>우리 군 최초의 군사정찰위성이 발사에 성공했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가 독자 기술로 개발한 겁니다. <br> <br>이 위성은 얼마 전 북한이 쏘아올린 위성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앞선 감시정찰 능력을 자랑합니다. <br> <br>이로써 우리 군의 대북 감시망은 더욱 촘촘해졌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앞으로 2년 안에 4기의 정찰위성을 더 쏘아올릴 계획입니다. <br> <br>오늘의 첫소식, 워싱턴에서 이은후 특파원이 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"5, 4, 3, 2, 1, 발사" <br> <br>붉은색 화염과 하얀 연기를 내뿜으며 발사체가 하늘로 솟아오릅니다. <br> <br>우리나라의 첫 정찰위성을 실은 스페이스X의 팰컨9 로켓이 미 캘리포니아 밴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되는 순간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시간이 정확히 맞군요. 진입 연소 중에 팰컨9은 엔진을 발사해 속도를 늦추고 있지만 여전히 매우 빨리 움직이고 있습니다." <br> <br>우리시간 오늘 새벽 3시 19분 이륙한 1호 정찰위성은 곧 1단과 2단 추진체 분리에 성공했고 14분 후 목표 궤도에 올랐습니다. <br> <br>이륙 78분만인 4시 37분 해외 지상국과 첫 교신한 데 이어 오전 9시 47분엔 국내 지상국과의 첫 교신도 성공했습니다.<br> <br>[한경호 / 방위사업청 1호 위성 발사관리단장] <br>"우리 군은 '한국형 3축 체계'의 기반이 되는 핵심 전력이자 독자적 우주 감시정찰 능력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.” <br> <br>1호 정찰위성은 모두 우리 기술로 설계됐고 부품의 70%도 국산입니다. <br> <br>특히, 수 백 km 상공에서 지상 30cm 크기 물체를 식별할 수 있고 야간에도 촬영이 가능한 고성능 카메라가 장착됐습니다. <br> <br>군 관계자는 "해상도가 아리랑 3호보다 서너배 정확하다"며 "세계 5위 수준의 성능으로 판단된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군은 4개월에서 6개월 정도 시험 평가를 거쳐 내년 상반기쯤 전력화한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또, 2025년까지 날씨 영향을 받지 않는 정찰위성 4기를 추가 발사할 예정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